부신피질호르몬제 Steroids

경구용

  • Prednisolone, Prednisone, Methylprednisolone, Triamcinolone, Dexamethasone, Betamethasone, Deflazacort, Methylprednisolone, Paramethasone acetate, Triamcinolone

주사제제

  • Methylprednisolone, Triamcinolone

외용제

  • 피부 : Alclometasone dipropionate, Amcinonide, Clobetasole propionate, Desoxymethasone, Diflorasone diacetate, Diflucortolone, Difluprednate, Fluocinolone acetonide, Fluocinide, Fluocortolone, Halcinonide, Methylprednisolone, Mometasone furoate, Prednicarbate
  • 안과제제 : Fluorometholone, Medryson
  • 흡입 : Beclometasone dipropionate, Budesonide, Flunisolide, Fluticasone propionate, Triamcinolone
  • 미네랄로 코르티코이드 제제 : Fludrocortisone acetate

[1] 작용기전

유전자의 활성화

이들은 세포로 들어가 특이한 세포질 수용체와 결합하여 활성화된 다음 핵으로 들어가 mRNA 합성을 촉진시켜 단백합성을 자극하여 호르몬의 작용을 나타낸다. 단백합성이 작용기전이므로 발현시간은 30분에서 2시간으로 느린 편이며 부신피질 호르몬의 작용은 다른 호르몬의 작용들과 연관되어 있다.

대사적 영향

당신생(gluconeogenesis), 글리코겐 저장, 인슐린 요구도 증가의 효과를 나타내며 장기투여시 글루카곤의 혈중농도가 증가하여 고혈당증과 당뇨의 악화를 가져오기도 한다.

단백분해를 촉진하여 단백합성을 억제하고, 골격근에서 단백이 상실되고 근육위축을 가져온다. 이러한 이유로 소아의 성장이 억제되고 상처치유가 지연될 있다.

지방조직에서 지방분해의 증가와 지방의 체내 재분포로 buffalo hump, moon face 등의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칼슘, 인의 이동을 증가시켜 골다공증을 유발한다.

수분저류

Na+, 수분의 저류로 부종, 고혈압을 유발하며 K+ 방출시켜 저칼륨성 알칼리증을 일으킬 있다. 이는 mineralocorticoid 효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합성된 스테로이드는 이에 대한 영향이 적다.

항염증 효과

세포내에서 mRNA transcription 일으키어 lipocortin(lipomodulin)이라는 단백질 합성을 유도한다. lipocortin 세포막 인지질에서 arachidonic acid 생성하게 하는 phospholipase A2 억제하여 염증반응 매개체인 prostaglandins thromboxanes, leukotrienes등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혈관투과성 항진, 부종, fibrin 침착, 백혈구의 염증부위 이동 등의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면역억제효과

혈중 림프구, 호산구, 단구, 호염구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T 림프구, B 림프구 감소 기능저해로 순환하는 림프구와 식균세포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억제하는데 사용한다.

중추효과

기분상승, 쾌감, 불면, 불안, 활동성 증가 등이 나타난다.

기타

세포분열의 감소로 소아의 성장을 지연시키고 위산분비를 증가시킨다.

여러 종류의 유해한 자극이나 환경의 변화(스트레스)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준다.

[2] 적응증  

급성 부신기능부전

고용량의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갑자기 중단한 경우 나타나며 등장 NaCl 용액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주사하되 처음 24시간 동안 투여되는 수액의 양이 체중의 5% 넘지 않도록 한다.

만성 원발성 부신기능부전

부신제거술 또는 부신피질의 손상시 cortisol로써 20-30 mg/day 나누어 투여한다. (기상시는 20 mg, 늦은 오후에 10 mg 여할 있다)

뇌하수체 전엽 부전으로 인한 2차성 부신기능부전

부신피질 호르몬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기상시 cortisol로써 20 mg, 늦은 오후에 10 mg 투여한다.

선천성 부신비대증

21-Hydroxylase 활성의 저하로 인한 것으로 cortisol 0.6 mg/kg/day 2-4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fludricortisone 0.05-0. 2 mg/day 투여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Aspirin, NSAIDs 등으로 치료가 되지 않을 선택될 있는데, corticosteroid 요법을 시작할 경우 수년 동안 치료를 계속해야 하므로 신중히 고려한 시작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소량으로 시작하여 조절될 때까지 천천히 용량을 늘려나간다. 완전한 치료는 되지 않는다.

류마티스성 심장염

Salicylate 요법에 실패했을 경우나 발열, 급성 울혈성 심부전, 부정맥, 심낭염을 수반하는 경우 초기치료로 선택될 있다. Prednisone 40 mg/day 또는 이상 투여가능하며 스테로이드 중단 재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salicylate 요법을 병행한다.

신질환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원발성 신질환에 의한 신증후군에 prednisone 60 mg/day 3-4 사용하며 이뇨, 단백뇨의 감소 증세가 호전되면 유지요법으로 1 정도 치료한다.

콜라겐질환

다발성근염(polymyositis), 다발동맥염, 육아종성 다발동맥염 환자 (공피증(scleroderma) 제외) 경우, prednisone 1 mg /kg/day 치료하고 증상이 호전되면 최소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다.

전격성 SLE(fulminating SLE) 치명적인 상태로 prednisone 1 mg/kg/day 투여로 24시간 내에 열이 내리고 관절염, 븍막염, 심내막염의 증상이 호전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매일 20 mg 증량할 있다. 증상이 조절되면 점차 용량을 감소시킨다 (1주일에 5 mg 감량). salicylate 계열 약물을 추가한다. 어떤 SLE 환자의 경우에는 azathioprine이나 cyclophosphamide 병용하기도 한다.

알레르기성 질환

일시적인 질환(담마진, 고초열, 접촉성 피부염, 약인성, 혈관성 부종 ) 경우 1 치료에 적당량을 추가할 있다.

천식

지속성 천식 발작시 초기에 고용량으로 투여해야 한다. 발작이 조절된 경구로 바꾸어 점차 용량을 감소시킨다. 천식의 급성 악화시는 prednisone 30 mg 1 2 5일간 투여하고 중증의 만성 천식에는 흡입용 제제를 사용한다.

안과질환

외부와 전구 부분에 국소 적용한다.

피부질환

습진성 발진에 1% cortisol 연고를 국소 적용하고, 급성 피부질환이나 만성질환의 악화시 경구투여 있다.

장관질환

복강 스푸루(celiac sprue), 염증성 장질환에서 휴식, 식이, 항콜린제, 지사제, sulfasalazine, metronidazole 투여로 치료가 안되는 경우 사용한다.

뇌부종을 수반하는 신생물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림프종 화학요법 - 림프구 억제효과

혈소판감소증

출혈경향을 낮추기 위해 prednisone 0.5 mg/kg/day 투여할 있으며, 심한 용혈시 100 mg cortisol 주사 용량을 감소시킨다.

장기이식

다른 면역억제제와 한께 사용한다.

쇼크

혈압, 심박출량을 단기간 증가시키며 catecholamine 대한 감수성도 증대된다.

[3] 약동학   


동효량(mg)

생리적 반감기 (시간)

반감기

Glucocor
tocoid 효능

Mineralocor
ticoid 효능

소실

Hydrocortisone

20

8-12


1

2

대사체로 신배설

Betamethasone


3

6.5 시간



<5% 미변화 신배설

Deflazacort

6


2시간 (활성형 대사체)



신배설(70%, 미변화-18%)
대변배설 (30%)

Methylprednisolone

4

18-36

3-3.5

5

0


Prednisolone

5

18-36


4

1


Triamcinolone

4

1836


5

0


Dexamethasone

0.75

36-54

1.8-3.5

20-30

0

소변 대변 배설

 

[4] 부작용 : 전신 투여  

고용량 장기 요법의 경우

외적 변화 (환자 인지 가능)

구분

증상

정신적인 장애

비만

피부이상

신경예민, 불면증, 불안, 우울증, 조울증, 정신분열증

주로 경부 뒤쪽, 쇄골 상부 복부에 지방이 축적, 사지는 몸에 비해 가늘어지고 얼굴은 만원형으로 붉어짐

steroid 단백 분해 작용으로 피부가 얇고 약해짐. 모세혈관이 약화되어 가벼운 외상에도 반상출혈이 유발됨

 

내적 변화 (환자가 인지 어려움)

  • 부신피질 위축 (steroid 사용량과 기간에 따라 다양).
    대처법 ☞ 속효성, 중간형 제제 투여의 경우나 격일요법은 발현율이 낮다
  • 고혈당 : 당생산량 증가, 당이용률 저하에 기인한다.
    대처법 ☞ 뇨당과 혈당의 정기적 검진으로 발현시 식이요법 약물요법으로 조절한다.
  • 면역 억제 작용 : 감염에 대한 감수성 증가
    대처법 ☞ 감염 발현시 원인 치료제를 철저히 투여한다.
  • 고지혈증
    스테로이드의 지방분해 촉진 작용으로 중등도의 고콜레스테롤혈증 현저한 고중성지방혈증이 나타날 있다.
  • 위장관 장애 : 소화성 궤양, 장천공, 췌장염
    대처법 ☞ 위장관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예방적으로 제산제를 병용시키며 자극적인 식이나 카페인이나 음료를 삼가도록 한다.
  • 안압 증가 : 안압 증가로 녹내장 백내장이 나타날 있다.
    대처법 ☞ 녹내장 가족력이 있는 환자는 안과적 정기 검진을 받도록 한다.
  • 골다공증 : 늑골 척추에서 심하게 발병한다.
    대처법 ☞ 칼슘과 vitamine D 투여로 억제 가능하다.
  • 근육병증 : , 다리, 어깨의 근위 근육이 약해지며 치료 중단의 지표가 된다.

장기 요법 후 갑작스런 투여 중단의 경우

  • 급성 부신 기능 부전증 (Addisonian crisis)
    즉각적이며 효율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는 glucocorticoid 부족으로 탈수, 고칼륨혈증 등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 Steroid withdrawal syndrome
    억제되었던 prostaglandin 갑작스런 합성증가, 스테로이드의 급격한 혈중농도 저하, 스테로이드 처치에 대한 정신적 의존성 등에 의해 나타나며 증상으로는 두통, 전신 쇠약감, 근육통, 관절통, 오심, 구토 식욕 감퇴, 체중 저하, 기립성 저혈압 등이 있다.

과량 투여시

  • 과량 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에 대한 보고는 드물며 이런 경우 gastric lavage 구토 유도 등의 일반적인 중독 처치법에 따른다.

금기

  • 과민증, 전신적인 진균 감염 상태인 환자.
  •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용량 : 생균백신(smallpox ) 투여받고 있는 환자
  • 복용기간 예방접종은 금기

[5] 부작용 : 흡입용 부신피질 호르몬제 top03.gif

경구용 부신피질 호르몬제와 유사하나 발생 빈도는 낮으며 대부분 과량 사용시 (1 15 흡입) 나타난다.

  • 캔디다증(아구창)
    대처법 ☞ 구강 인후의 캔디다증(candida) 흡입 물로 구강을 세척함으로써 예방 가능하고 증후성 캔디다증의 경우는 국소 항진균 요법(: Nystatin gargle ) 실시를 요한다.

[6] 부작용 : 기타 국소 제제 : 피부에 작용하는 약물 참고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도정맥류 내시경소견  (0) 2014.01.11
B-CT  (0) 2014.01.09
항균제 각론(glycopeptides 외)  (0) 2013.11.30
항균제 각론(Aminogycostdes,MLS group)  (0) 2013.11.30
항균제 각론 (cephalosporin계)  (0) 2013.11.30
by 매야 2014. 5. 23. 11:09

식도정맥류 


내시경 소견을 네 가지 항목(기본색조, 발적소견, 부위, 형태)로 분류


1.기본색조 (C:COLOR)

a. 백색 정맥류 (Cw: whtite varices)

백색조의 정맥류.정상적인 식도점막 색조를 갖는 정맥류.


b. 청색 정맥류 (Cb: blue varices)

뚜렷하게 청색조가 강한 정맥류. 창백색(bluish white)의 팽팽한 정맥류도 이에 포함된다.

다수의 정맥류를 갖는 경우에는 최대 지름 색조를 그 증례의 기본색조로 한다.

연속되어 하나를 형성하는 정맥류의 기본색조는 가장 확장된 부위의 색조를 기본 색조로 한다.


2.발적 소견 (RC : red color sign)

정맥류를 덮고 있는 점막이 적색조로 변화된 소견


a.지렁이 모양으로 부푼 발적 소견 (red wale marking : RWM)

식도정맥류 표면에 융기되어 지렁이모양으로 관찰되는 선상의 발적. 정맥류 표면에 적색 혈관이 충혈되고 중첩되어 보인다.


b.앵두반점모양 발적 소견 (cherry-red spot : CRS)

식도정맥류 표면에 융기한 작은 발적점. 점막 표충의 혈관상이라 여겨진다.


c.혈낭포 발적 소견 (hematocystic spot : HCS)

식도정맥류 표면에 반구상으로 돌출된 작은 발적점. 표면에는 얇은 피막으로 덮였으며 적색부와 기저정맥류의 경계는 뚜렷하다. 혈종형으로 보인다. 대부분은 고립성이다.



발적소견의 정도

경도 (+) : 국한성으로 소수 관찰된다.

중증도 (++) : middle line

고도 (+++) : 전주성의 정맥류 위에 다수 관찰된다.



3.점거부위 (L:Location)

식도 정맥류의 점거부위는 식도를 3개로구분하여 이를 각각 상부 Ls(locus superior), 중부 Lm(locus medialis), 하부 (Locus inferior)로 표현한다.

내시경적 랜드마크로 기관분지부에서부터 상부를 Ls로 하고, 기관분지부와 식도위접합부 사이를 2분하여 Lm, Li로 구분한다.

위정맥류가 보이는 경우 Lg라고 기재한다.

①Ls: 상부식도까지 보이는 정맥류.

②Lm: 중부식도까지 보이는 정맥류

③Li: 식도 하부 1/3에 국한되어 있는 정맥류

④Lg : 위정맥류

Lg-c: 분문륜에 근접하는 정맥류. (stomach 측에서 보임)

Lg-f : 분문륜으로부터 떨어져 존재하는 정맥류 (고립형)

Lg-cf : 위분문에서부터 저부로 연속되는 정맥류


4.형태 (F:form)

식도정맥류의 형태를 크기도 함께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F0~f3형으로 구분하였다

①Fo: 정맥류로서 보이지 않는 것(정맥류로서의 형태를이루고 있지않는것, 또는 치료로 소실된것)

②F1: 직선적으로 확장 혹은 사행한 가느다란 정맥류

③F2: 염주상 정맥류로 F1보다 뚜렷하게 확장이 심하고 염주형태를 나타내는 정맥류

④F3: 결절상 정맥류로, 가장 확장이 강해 정맥류의 융기가 급하고 그 표면은 불규칙한 요철이 결절상을 나타내며 내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정맥류.





출처 : 소화관내시경 진단 text 1. 2009.02.27. 문영수, 한국의학 p 58~61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신피질호르몬제 Steroids  (0) 2014.05.23
B-CT  (0) 2014.01.09
항균제 각론(glycopeptides 외)  (0) 2013.11.30
항균제 각론(Aminogycostdes,MLS group)  (0) 2013.11.30
항균제 각론 (cephalosporin계)  (0) 2013.11.30
by 매야 2014. 1. 11. 22:29

[Conclusion]
1> Widened DSF space along cerebral convexity(Rt>Lt)
--subdural hygroma.

 

뇌수종은 뇌를 싸고 있는 거미막의 일부가 손상이 오면서  뇌피질 바깥쪽부위 즉 경막 외 공간에
뇌척수액이 과도하게 고인경우를 말하는데 거의 대부분 외상과 연관되어 나타납니다.
수두증은 말그대로 거미막의 손상은 없지만 뇌척수액의 과도한 생성이나 순환장애 즉 막힘등에
의해서 뇌실이 커지면서 뇌실질을 압박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뇌수종은 hydrocephalus를 말하는 것입니다.
Hydrocephalus는 우리말로 수두증 혹은 뇌수종이라고 합니다.
 
알고 계시는 hygroma는 단순히 수종이라고 부릅니다.
수종은 주로 뇌경막하에 잘 발생하므로 주로 경막하 수종으로 불립니다.
즉 원어로는 subdural hygroma라고 합니다.
 
수두증과 경막하 수종은 발생 위치가 다릅니다.
수종은 주로 뇌의 바깥에 뇌척수액이 고이지만
수두증은 주로 뇌의 중심인 뇌실에 뇌척수액이 고이게됩니다.
 
또 많은 경우 경막하 수종은 뇌의 손상 후에 나타나는 합병증이 많으나
수두증은 뇌손상을 포함하여 뇌출혈이나 다른 뇌질환이 있는 경우
혹은 원발성(대부분은 선천성입니다.)으로 발생합니다.
 
많은 경우 수종은 일시적이지만 (물론 만성으로 되어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수두증은 진단되면 수술을 반드시 해야됩니다.

 

 

 


--ddx. chronic SDH.

2> Lacunar infarction, Lt periventricular and subcortical white matter adjacent to caudate nucleus and Rt basal ganglia.

뇌는 크게 백질(white matter)과 회백질(gray matter)로 나눌수 있다.
회백질은 뇌를 싸고 있는 바깥부분이고, 백질은 회백질의 안쪽에 있는 부분이다.

 

 

 

 

 

3> Periventricular hypoattenuation (Lt> Rt)

미세감쇠

 

[Recommandation]
clinical correlation.

by 매야 2014. 1. 9. 17:12

Glycopeptides

 

 1. vancomycin

 - 최근 MRSA가 늘면서 자주 쓰는 항균제

 - 기전 : 세포벽의 합성단계 중, peptidogycan 전구체의 peptidyl-D-alanyl-D-alanine말단에 작용하여 transpeptidation을 방해 (penicillin니 작용하기 바로 전 단계를 억제)

 - 항균력 : S. aureus, S. epidermidis, Diphtheroid, Streptococcus, Pneumococci, C. difficle에

           살균력 높다 (Enterococci에는 정균 항생제로 작용)

 - GI 흡수 아주 불량  →  IV로 천천히 주입 (IM시 pain 심함)

 - 반감기가 매우 길고 신장으로 배설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 사용례 :  ① MRSA ② S. epidermidis에 의한 prosthetics (joint, valve, shunt)감염

         ③ penocillin/cepha allergy 환자의 Streptococcus나 Enterococcus 감염 

         ④ Diphteroid 감염 ⑤ CAPD peritonitis ⑥ C. difficle에 의한 pseudomembraneus

          colitis

 - 부작용 (무섭다)

         ① 높은 농도로 오래 쓸 때 →  ototoxicity, nephrotoxicity

            (AG와 함께 쓰면 독성이 더 증가) 

         ② 주사를 빨리 놓을 때 → red man's syndrome, pain & spasm syndrome,

             저혈압 

         ③ 기타 : drug fever, allergic reaction, thrombophlebitis, neutropenia 

 2. Tedicoplanin

  - vancomycin과 화학구조, 작용기전, 항균범위 비슷

   (netropenia나 vancomycin에 allergy가 있는 환자에 유용)

  - vancomycin과의 차이

       ① 지용성이 높아 조직 침투력이 뛰어나며 반감기가 길다 (투여횟수가 적어짐)

       ② IM도 가능

 

 미국 CDC HICPAC 권장안의 vancomycin 내성균 확산을 막기 위한 기준
 ■ Glycopetides의 사용이 적절한 경우
  1. B-lactam 제제에 내성을 지닌 그람 양성균에 의한 중증 감염증 (예. MRSA)
  2. B-lactam 제제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의 그람양성균 감염증
  3. Metronidazole에 반응이 없거나 위중한 C. difficle 장염 (AAC) → oral vancomycin
  4. 심내막염의 예방 (American Heart Association 기준에서 인정하는 고위험군)
  5.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MASA, MRSE 의 빈도가 높은 병원에서 시행되는 
    인공삽입물 수술 , 심혈관계 수술, 인공관절 치환수술 등)
 ■ Glycopeptides의 사용이 부적절한 경우
  1. 일상적인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
  2. 호중구 감소 환자의 발열에 대한 초기 경험적 항생제
     (B-lactam 제제에 내성인 그람 양성균 감염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만 사용)
  3. 한 개의 혈액배양에서만 CNS가 자라는 경우
  4. Glycopeptides를 사용해야 하는 원인균이 자라지 않은 경우에 지속적인 경험적 투여
  5. 카테터 감염의 예방 목적 (전신적 또는 국소적 투여)
  6. 장관의 선택적 오염 제거
  7. MRSA 정착(colonization)의 제거
  8. 항생제 관련 설사의 일차 약제
  9. 저체중 신생아의 예방적 항생제
  10. CAPD 환자의 예방적 항생제
  11. 약물동력학적인 유리한 점 때문에 B-lactam 제제에 감수성인 균주에 대해 
     사용 (CRF 환자)

 

 Quinolon 계 항균제

 

 1. 약제

 - 작용기전 : DNA 합성 억제

 - 종류 : ciprofloxacin, ofloxacin, levofloxacin, pefloxacin, norfloxacin, lomefloxacin, 

          fleroxacin, tosufloxacin, clinafloxacin, enoxacin, amifloxacin, grepafloxacin,..

 

 2. 항균력

 - G(+)균에 포함되는 거의 모든 장내세균, P. aeruginosa, Haemophilus species,

   G(-) rods (Neisseria species 등) 등에 효과적

 - 개발 초기에는 Staphylococci에 항균력을 보였으나 현재는 내성이 많아짐

 - 최근에 개발된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anaerobes에 대하여는 잘 듣지 않는다.

 - ciprofloxacin,ofloxacin은 결핵균 및 비정형성 결핵균에도 항균력을 보인다

 - Mycoplasma, rickettsia, Chlamydia 등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다

 

 3. 약리학적 특성

 - 대부분 GI 흡수가 좋다 (75%~95%), 반감기 길어 하루 1~2회 투여 가능

 - 전신에 쉽게 퍼지고, 조직으로의 침투가 우수 (BBB투과는 좋지 않다.)

 - intracellular orgarnisms에 효과적    

 

 4. 임상적 사용

 - UTI : G(-) 장내세균에 매우 우수한 항균력, 소변중 높은 농도

 - GI infection : GI infection을 일으키는 대부분의 세균에 항균력, 대변중에도 높은 농도로 배설

 - typhoid fever에서 DOC

 - 성병 (임질, chancroid), osteomyelitis, arthritis, 결핵 ...

 

 5. 특성 및 부작용

 - 일반적으로 quinolone계 향균제는 부작용이 적다

 - 4~8% 에서 경한 부작용 : GI distress, CNS(dizzness, insomnia, nervousness), photohypersensitivity, rash

 - 연골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임산부나 17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금기

 

 6. New fluoroquinolones

 - 종류 : levofloxacin, sparfloxacin, trovafloxacin, moxifloxacin, clinafloxacin, gatifloxacin, gemifloxacin, trovafloxacin ...

 - G(+)균 (특히 penicillin 내성 S. pneumoniae에 대한 항균력이 강해졌고 혐기성 균에도 강한 항균력을 보임 (G(-)균에 대한 항균력은 약해짐)

 - bioavailability 좋아짐

 - 폐등 호흡기로의 침투율 우수 → 호흡기 감염 치료에 효과적

 - 반감기 길어짐 → 하루 한 번 투여로 충분

  

 Tetracyclines

 

 1. 약제

 - tetracycline(TC), doxycycline(DC), minocycline, demeclocycline

 - 작용기전 : 30S ribosome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

 - 흡수는 주로 상부 소장에서, 반감기 6~8 시간, 신장과 담즙으로 배설

         신부전 환자에서 사용금기

         간기능 저하 환자에서 혈중농도가 높아지진 않으나 간독성 발생에 주의

 

 2. 임상적 사용         

 선택적 적응증 이차적 적응증
 Lyme병 여드름
 재귀열 방선균증(Actinomycosis)
 브루셀라증 탄저병(anthrax)
 연성하감 Campylobacter fetus, C. jejuni
 Chlamydia 감염증 만성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Helicobacter pylori Clostridium tetani
 (metronidazole, bismuth 등과 병용) Eikenella corrodens
 골반내 감염증 야토병(Tularemia)
 Pseudomonas mallei 렙토스피라증
 Rickettsia 감염증 Nocardia (minocycline)
 콜레라 Pasteurella multocida
 Vibrio parahemolyticus 서교열
 V. vulnificus 매독
 Mefloquine 내성 열대열 말라리아  페스트
 Ureaplasma urealyticum

  

- 내성률이 증가하였지만 Rickettsia, Mycoplasma, Chlamydia 감염에는 효과적

 

 3. 부작용

 - GI Sx (N/V, 상복부동통, 설사, 식도궤양)

 - 칼슘과 쉽게 결합하여 신생골과 소아의 치아에 침착

   → 태아의 치아변색, 법랑질 이형성, 뼈의 변형과 성장장애 일으킬 수 있다.

   → 임산부 및 8세 이하 소아에서는 금기

 - 간괴사 : 다량 투여할 경우 나타나며, 임산부에서 흔하다

 - 신독성 : 신부전 환자의 신기능을 저하시킴

       (democlocycline → nephrogenic DI를 일으키므로 SIADH치료에 사용)

 - 과민성 반응 : anaphylaxis, urticaria, rash

 

 4. Doxicycline

 - TC보다 경구로 흡수가 잘 되고, 음식물의 영향을 덜 받는다

 - 반감기 길고(16~18시간), 항균력도 우수 → TC의 적응증에 모두 쓰일 수 있다. 

 - Plasmodium falciparum에도 항균력이 있어 예방적 항생제로 사용됨

 

  Trimethprim-Sulfamethoxazole

 (TMP-SMX, Cotrimoxazole, Bactrim)

 - 작용기전 : nucleic acid 합성 단계중 SMX는 PABA→FH2 (dihydrofolic acid)단계를, 

       TMP는 FH2→FH4 (tetrahydrofolic acid) 단계를 억제 

 - 경구로 투여, GI에서 빨리 흡수

 - 소변으로 배설 (신기능 저하시 용량 조절해야)

 - 사용예

    비뇨생식기계 감염 

        (내성균이 증가함에 따라 quinolone을 쓰는 경우가 많아짐)

    위장관계 감염 (    ˝     )

    호흡기계 감염 : Pneumocystis carinii, Nocardia asteroides 등

 - 부작용 : 피부병변 (소양증, 발적), GI Sx (N/V, diarrhea), 신기능 저하, 백혈구 감소, 혈

         혈소판 감소 ...

         임산부에서 사용은 주의, 신부전 환자에서 투여시 더 악화 

 

  Chloramphenicol

 - 작용기전 : 50S ribosome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 억제

 - 항균범위 : 광범위, 대부분의 G(+) & G(-) bacteria, Salmonella, H. influenzae,

              S.pneumoniae, N. meningitidis / B. fragilis를 포함한 anaerobic bacteria ...

 - 사용예 : 혐기성균 감염 (특히 B. fragilis), typhoid fever, H. influenzae meningitis,

              pneumococcal & meningococcal meningitis 환자에서 penicillin allergy 시,

              brain abscess, rickettsia 감염 환자가 TC를 복용 못할 때 ...

 - 부작용 : BM 억제 (dose-related), gray baby syndrome (신생아, 신생아에서

              circulatory collapse로), optic neuritis, hypersensitivity (uncommon), 

              aplastic anemia (rare, idiosyncratic reaction) ... 

 

 Metronidazole

 - 작용기전 : bqcterial cell 내에서 reduction된 뒤, DNA에 작용하여 DNA의 구조를 파괴

 - 조직 투과력이 높다 (특히 CNS)

 - 항균범위 : 대부분의 혐기성 균과 일부 기생충감염

     ( 혐기성균에 대해 가장 강력한 항균 효과)

 - 사용예 : anaerobic infections, bacterial vaginosis, Trichomonas vaginitis,

      Amebiasis (imtestinal or extraintestinal), Giardiasis ...

 - 부작용 : glossitis, stomatitis, metallic taste, GI disturbances (anorexia, nausea,

      epigastric distress), CNS S/E (rare), peropheral neuropathy (rare),

      disulfiram-like reaction (rare),  pseudomembraneous enterocolitis (rare) ...

 

 Oxazolidinone

 - linezolid - 최초로 FDA승인을 받은 제제(2000년)

 - 기전 : 50S ribosome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의 초기 단계를 억제

 - 항균력 (G 양성균) : S. aureus (methicillin내성과 관계없이), GISA, 모든 streptococci,

      다제내성 S.pneumoniae, Enterococci(vancomycin 내성과 관계없이)

      다른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세균에 교차내성을 갖지 않는다.

 - 약동학 : 경구투여 가능, 조직 침투력 뛰어남, 신기능 저하시에도 용량은 줄일 필요없음

 - 적응증 

      ① VRE 감염 (E. faecium과 E. faecalis 모두!)

      ② 원외 및 원내 폐렴

      ③ 피부 연조직 감염

 - 부작용 : N/V, 설사, 두통, 발진, 가역적인 thrombocytopenia

 - pregnancy category C

 

 c.f.) 감염질환에서 steroid 사용의 예

      ① 소아의 Hemophilus 뇌막염

      ② 결핵 : 결핵성 심낭염, 뇌막염, miliary tuberculosis, 심한 pleural effusion,

             endobronchial tuberculosis

      ③ AIDS 환자의 PCP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도정맥류 내시경소견  (0) 2014.01.11
B-CT  (0) 2014.01.09
항균제 각론(Aminogycostdes,MLS group)  (0) 2013.11.30
항균제 각론 (cephalosporin계)  (0) 2013.11.30
항균제 각론 (penicillin계)  (0) 2013.11.30
by 매야 2013. 11. 30. 23:12

Aminoglycosides(AG)

  -신독성, 이독성이 문제, 내성 문제에도 큰 진전이 없음

  -3세대 cepha, quinolone 등 G(-)균 치료 약제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AG의 개발은 거의 중단된 상태

 

 

 1. 약제

   ; streptomycin, kanamycin,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netilmicin, astromicin, dibekacin, isepamicin, arbekacin, neolycin, .....

 

 * 참고 : -mycin은 Streptomyces에서 추출된 AG, -micin은 micromonospora에서 추출된 AG, -kacin은 kanamycin 유도체

 

 2. 항균력 및 내성

 - 작용기전 ㅣ 30S ribosome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

 - 내성기전

      ① aminoglycoside를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m/c) - 최소 11개 정도

                amikacin : 2개의 효소에 의해 불활성화 ; 안정성이 가장 우수

                gentamicin, tobramycin : 6~7개에 의해 불활성화 ; 내성 균주 多

      ② ribosomal resistance 

      ③ ineffective transport

 

 3. 투여 및 임상적 적용

 - high polar, 수용성    GI에서는 거의 흡수되지 않음  → 주사로만 사용

        IM시는 혈중 농도의 개인자가 매우 심해

        IV로 30분~1시간동안 점적 주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

        CNS, abscess, 눈, 전립선 등에는 약제가 잘 들어가지 못함

 -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

 - 모든 호기성 G(-)rods 감염증에 우수한 효과 (특히 P.aeruginosa)

        G(+)균과 혐기성 세균에는 안들음

 - gentamicin이 싸고 가장 흔히 쓰임 

 

 4. 부작용

   (1) 신독성(nephrotoxicity)

 - 최저 혈중농도 및 투여기간과 관련

 - non-oliguric renal failre(약제를 중단하면 잘 회복됨)  

       → 계속 사용하면 oliguric renal failre로 진행(회복 어려움)

 - proximal tubule damage ; proteinuria, glucosuria, lipidemia, amino aciduria

 - risk factors; 달수, 고령, 1년 이내에 aminoglycosides를 사용한 사람, loop diuretics 또는 1세대 cepha와 병용하여 사용, 기존의 신장질환 ...

   (2) 이독성(ototoxicity)

 - vestibule, cochlea의 감각세포에 진행성 변화

        → 감각세포가 파괴디면 영구적 장애

 - 최고 혈중농도와 관계, 대부분 예측 불가능(갑자기 발생할 수 있다.)

 - gentamicin > tobramycin, amikacin > netilmicin

   (3) 기타

  : neuromuscular blockade(아주 드뭄), hepatotoxicity, drug fever, skin rash

 

  Macrolides

 - 가장 안전한 약물 중 하나, 싸고 좋다. erythromycin이 대표적

 - 기전 : ribosome에서 단백질 합성 방해

 

 (1) 항균범위

  - 작용범위가 매우 넓다 : G(+)균 (group A, B, C, G streptococcus, pneumococcus),

          G(-)균(M. catarrhalis, N. gonorrhea 등), mycoplasma, chlamydia, richettsiae,

          trichomonas, spirochete

  - Staphylococcus에도 듣지만 내성균이 나타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 Diphteria에 효과가 좋고 탄저병의 치료에도 쓸 수 있다.

 

 (2) 약리학

  - 반감기 짧아 (1~2시간) 자주 투여해야한다.

  - 간을 통해 배설되므로 간이 나쁜 환자에서는 조심해야한다.

    (신기능은 나빠도 용량을 안 줄여도 됨)

  - 위산에 대한 분해에 불안정, bioavailability가 상대적으로 낮음

 

 (3) 사용례(DOC)

  - Mycoplasma 폐렴

  - Legionella 폐렴

  - Chlamydia 폐렴

  - Pertussis (B. pertusis)

  - Campylobacter감염

  - Diphteria

  - penicillin allergy환자에서 다음의 감염증이 있을 때

   ; group A streptococcus에 의한 상기도 감염, pneumococcal 폐렴, 치과치료에 따른 endocarditis의 예방, rheumatic fever의 예방

  - 폐렴이나 기관지염에서 경험적 치료

  - 대장절제술에 따른 감염예방을 위해 aminoglycosides와 함께 사용

 

 (4) 약물 상호 작용

  ; theophyllin, warfarin, digoxin, cyclosporin의 혈중농도 상승

 

 (5) 부작용

 - 부작용이 가장 적은 항균제중 하나

 - 위장장애 (m/c) : 위장운동을 항진

 - estolate형(성인에서)    cholesterol 정체성 간염

 - 일시적인 청력장애(드물다) : 혈중농도가 높을 때

 

 (6) Newer Macrolides

 - 종류 ; azithromycin, clarithromycin이 대표적

  (기타 : roxithromycin, dirithromycin, flurithromycin...)

 - 장점 : 부작용이 적다. 조직침투력이 월등, intracellular organisms에 대한 살균력이 좋다. 반감기 증가( → 투여 횟수 감소)

 - 항균력

     ① azithromycin

              EM보다 강한 것 : H.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Legionella

                pneumophilia, Pasteurella multocida, M. pneumoniae, M.hominis, N.

                gonorrhea, U. orealyticum 

              EM과 비슷 : C. trachomatis, Campylobacter, anaerobic bacteria   

              EM보다 약한 것 : Staphylococci, Streptococci   

     ② clarithromycin

              EM보다 강한 것 :  Staphylococci, Streptococci, L.pneumophilia, 

                 M. catarrhalis, C. trachomatis, Bacteroides fragilis, Clostridium과 몇 가지 

                 anaerobis

              EM과 비슷 : N. gonorrhea, H. ducreyi, Campylobacter

              EM보다 약한 것 : H. influenzae, H. parainfluenzae     

 - 임상효과

     ① azithromycin은 성인은 물론 소아에서도 Chlamydia, Mycoplasma, Legionella는

       물론 H. influenzae와 S. pneumoniae에 의한 호흡기 감염을 비롯하여 피부 연조직 감

       염, 요로감염, 자궁경부염 등에 이용

     ② clarithromycin은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비임균성 요도염과 자궁

        경부염의 치료에도 매우 효과적

     ③ azithromycin과 clarithromycin은 MOTT 감염증에도 훌륭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

        지만 M. tuberculosis에 대한 효과는 아직 불분명

 

  Lincosamides

(1) Lincocin

  - 항균력은 EM과 유사

  - pseudomembraneous colitis는 잘 생기지 않는다.

(2) Clindamycin

  - lincomycin의 구조를 변형시킨 것으로 GI흡수가 더 잘 되고 항균력이 더 강하고 부작용이 적다.

 - 작용기전 : 50S ribosome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

 - 경구로 복용(GI에서 90%정도 빨리 흡수됨), 주로 담즙으로 배설

 - 사용예 : penicillin allergy 환자의 골관절 G(+)균 감염, Bacteroides fragilis에 의한 복강내 감염 및 폐감염, 호기성과 혐기성 세균이 혼합된 경우 (복강내 감염, PID, DM환자에게서 족부 궤양 감염, 일부 호흡기감염), 농양 (pH의 영향을 덜 받아 농양내 작용이 월등), 국소적으로 여드름, 농포, 안구의 toxoplasma 감염증, AIDS환자의 toxoplasma 뇌염

 - 부작용 : pseudomembraneous colitis(만일 약제로는 m/c), 설사, 과민반응, rash, contact dermatitis, 국소적 염증/ 정맥염(IM or IV시), neuromescular blockade(드뭄), AST의 상승(위양성)...

 

 2. Streptogramin

 - quinupristin/dalfopristin (Q/D, Synercid) - 최초로 FDA승인 받은 제제(1999년)

 - 기전 : 50S ribosome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의 후기 단계를 억제

 - 항균력 (G 양성균) ; S. aureus (oxacillin 내성과 관계없이), pneumococci(penicillin 내성과 관계없이), E. faecium (vancomycin내성과 관계없이)

        E. faecalis에는 효과없다.

        vancomycin에 비해 우월한 조직 침투력, 살균 역학으로 심부 Staphylococci감염에

      효과적

        다른 계열의 항균제와 교차내성을 보이지 않음

 - 약동학 : bioavailability가 낮아 IV로만 사용, BBB나 태반 통과 안 됨, 시간 의존성

 - 적응증  

        ① VREF(vancomycin-resistant E. faecium)

        ② MSSA에 의한 합병증이 동반된 피부 연조직 감염

        ③ glycopeptide를 사용할 수 없는 MRSA 감염증

 - 부작용

        ① 정맥성 : 주사부위의 염증, 통증, 부종, 혈전성 정맥염

        ② 비정맥성 : N/V, 설사, 발진,  두통, 소양증, 통증, 가역적인 serum transminase 증

               가, conjugated bilibuinemia (관절통과 근육통 - 투여를 중단해야하는 m/c원인)

 - pregnancy category B(안전)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T  (0) 2014.01.09
항균제 각론(glycopeptides 외)  (0) 2013.11.30
항균제 각론 (cephalosporin계)  (0) 2013.11.30
항균제 각론 (penicillin계)  (0) 2013.11.30
항균요법 외래 급성감염  (0) 2013.11.30
by 매야 2013. 11. 30. 23:11

CEPHALOSPORIN계 항균제

 변경하기 쉬운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 많은 종류가 개발됨

 

1. 작용기전

 - Penicillin처럼 세포벽 합성의 마지막 단계에 작용

 - 세대가 높을수록 B-lactamase에 대한 저항력도 크다

 

2. 분류

 - 항균범위를 기준으로 1,2,3 세대로 나눔

 - 1세대 cepha는 G(+)rods에 잘 듣고 2~3 세대로 높아질수록 더 많은 G(-)균에 듣는다.

 - 3세대는 G(+)에는 1,2 세대보단 약하지만 B-lactamase를 만드는 장내세균에도 잘 들으며 Streptococci와 G(-)균에는 매우 잘 듣는다.

 - 4세대 : B-lactamase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높으며 G(-)의 외막을 매우 빨리 통과, 항균력은 G(+)는 cefotaxime정도, G(-)는 cefrazidime정도

 

 세팔로스포린계 항균제의 분류

  주사용   경구용 
 1세대 Cephalothin, Cefazolin, Cephradine Cephalexin, Cefradroxil
 2세대 혐기성 효과 無 Cephamandol,  Cefuroxime, Cefaclor, Cefprozil
 균에 효과 有 Cefoxitin, Cefotetan, Cefmetazole
 3세대  녹농균 효과 無 Cefotaxilme, Ceftriaxone, Ceftrizoxime Cefixime, cefpodoxime
 에 효과 有 Ceftrazidime, Cefoperazone, Cefpiramide
 4세대 Cefepime, Cefpirome  

 

 5. 항균범위

 

(1) 1세대 Cephalosporins

 - Staphylococci, Streptococci 등의 G(+)균에 우수한 항균력

  (MRSA 및 enterococci에는 항균력이 없다.)

 - skin & soft tissue infection, UTI, pneumonia, pharyngitis, cholecystitis에 씀

 - Klebsiella는 병원성이 강하므로 3세대를 쓰는 것이 좋다.

 - 수술 뒤에 생기는 창상 감염의 예방에는 1세대가 좋다.(cefazoline)

 - CSF에는 들어가지 못하므로 CNS감염에는 쓰지 못한다.

 

(2) 2세대 Cephalosporins

 - G(+)에 대한 항균력은 그대로 가지면서, G(-)에 대한 항균영역이 1세대보다 넓음

  (MRSA, enterococci, Pseudomonas에 대한 항균력은 없다.)

 - 호흡기 감염에 주로 사용하며 skin & soft tissue infection, UTI 에도 사용

 - Cefuroxime : S. pneumoniae, H. influenzae, neisseria에 대한 항균력 우수

 - Cefoxitin, cefotetan : community=acquired 호기성/혐기성 세균의 복함갑염증

 ( 복강내 감염증, PID, 대장수술시 prophylactic agents, aspiration pneumonia, DM환자의 하지 soft tissue 감염증, 욕창의 감염)

 

 * NMTT(N-methyl thiotetrazole) side chain을 가진 cepha

    ; cefotetan, cefamandole, moxalactam, cefoperazone (cefobid)

  - vitamin K의 작용을 방해    출혈성 부작용 발생 (hypoprothrombinemia)

  - disulfiram-like reaction 일으킴

 

 (3) 3세대 Cephalosporins

 - 항균범위는 모두 비슷  : Pneumococcus, Meningococcus, H. influenzae(ampicillin 내성균주 

            포함) 및 대부분의 G(-)균에 잘 들음

            - G(-)rods에 매우 강함

 - BBB를 잘 통과    meningitis의 치료에 중요 (but, Listeria에는 듣지 않음)

 - 항균제 내성 G(-)균을 치료할 떄 주로 쓰임 - 대개 원내감염(폐렴)

 - community-acquired pneumonia라도 Klebsiella가 원인이면 3세대를 쓴다.

 - 복강내 감염증 or PID에는 metronidazole을 함께 사용

        (→ 혐기성 세균도 같이 치료)

 - Enterobacter, Cirobacter, Serratia에는 처음엔 잘 듣다가 치료중 내성이 생기는 수가 많으므로 항생제 감수성을 확인하면서 사용

 - G(+)균에는 1세대만 못하고 Enterococci, Listeria, MRSA, Acinetobacter에는 잘 안듣는다

 - 수술 뒤에 생기는 감염증을 예방할 목적으로는 안 쓴다.

 - ceftraxone : 임질, ampidillin-resistant H. infleenzae meningitis에 가장 좋다.

  (chlamidia에는 잘 안들으므로, acute salphyngitis에는 DC도 함께 쓴다.)

 - zefoperazone(cefobid) : Pseudomonas에 잘 들음, 주로 biliary로 배설되므로 신기능 장애시 선택약, febrile nuetropenia 환자에서 경험적 치료시 DOC

 - ceftazidime : Psuedomonas 에 아주 잘 들음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대개 ycosides와 함께 사용

 

 (4) 4세데 Cephalosporins

 - 종류 : cefepime, cefpirome

 - G(-)rods의 세포벽을 빨리 통과하고 효과도 더 강력함

 - cefotaxime, cefrazidime보다 G(-)rods에 더 효과적

 - Bush group 1 B-lactamase 및 ESBL생성균에도 효과적

 - G(+)균에 대해서는 cefotaxime과 동등한 효과

 

  4, Oral cephalsporins

 - cefadroxil(1세대) : 반감기가 길어서 12시간마다 투여

 - cefaclor, cfuroxime(2세대) : H. influenzae에 잘 들어서 otitis media, sinusitis, 호흡기 감염에 사용

 - cefixime(3세대) : G(-)에 대해서는 주사약보다 못함. Enterobacter, Acinetobacer, P. aeruginosa에는 안 듣고, 혐기성 세균과 Staphylococcus에도 안 듣는다.

 

  5. 약리학

 - 흡수   cefalexin, cephradine, cefaclor, cfadroxil, cefuroxime

                    (위장관으로 잘 흡수, 위산에 안정적)

             cephalothin, cephapirin (IM시 너무 아파서 IV로 투여)

             다른 cephalosporis는 IM or IV

 - 배설 : 신장으로 (예외: cefoperazine만 답즙으로 배설)

 - 분포 : 1,2 세대는 CSF에 잘 안 들어가지만, 3세대(cefotaxime, ceftrizoxime, ceftraxone)는 CSF에 잘 들어가므로 meningitis의 치료에도 쓸 수 있다. 

 - ceftriaxone : 반감기가 길어서 하루 1~2번 만 투여해도 충분 (외래환자에서 쓸 수 있다.)

 - 다른 cephalosporins의 반감기는 1시간 정도 

 

 기타 B-lactam계 항균제

 

 1. Carbapenem

 - 종류 : imipenem, metropenem, panipenem, biapenem

 - 기전 : B-lactam 계열과 비슷, (B-lactamase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

 - aerobic G(+)균 Enterococci, Listeria 포함), G(-)균 (B-lactamase를 내는 H. influenzae, N. gonorrhea, Enterobacteriaceae, p.aeruginosa), 혐기성 세균(B. fragilis)모두에 대해 효과적

 - P.cepacia, Enterococcus faecium, MRSA, JK diphtheroid 등에는 안 들음

 - 병원내에서 분리되는 P. aeruginosa의 20%는 내성을 가짐

 - 위산에 약해 GI흡수는 불량

 - 심한 원내 감영의 경험적 치료에 이용(meropenem은 G(-)균에 의한 원내감염에서 3세대 cepha로 치료 실패시 사용)

 - 부작용 : nausea(빨리 주입시), seizure(드뭄), 신부전시 주의

 - imipenem/cilastatin : imipenem은 신장의 dehydropeptidase에 의해 분해되어 독성 대사산물을 생성하므로, 이 효소의 억제제인 cilastatin과 1:1로 혼합된 형태로 사용

 - meropenem : omopenem과 달리 신장의 dehydropeptidase에 안정적이고 imipenem에 장내세균에는 더 효과가 좋고(2~8배), ESBL 생성균에도 효과적이나 G(+)균에는 효과가 좀 떨어진다.

 

 2. Monobactam

 - 종류 : aztreonam(Azactam), carunonam

 - 기전 : G(-)균의 PBP3와 결합하여 세포벽 합성을 억제

 - 항균범위 (Aminoglycosides와 비슷)

           호기성 G(-)균에만 듣는다. (G(+)균과 혐기성 세균에는 안 들음)

           장내세균에 살균력이 높으나 P.aeruginosa E. cloacae, C. freundii의 일부는 안 들음)

 - 다른 B-lactam계 항생제에 allergy가 있는 환자에게도 쓸 수 있다.

 - 부작용 : 주사부위의 국소증상(m/c), rash, diarrhea, N/V, nephrotoxicity는 매우 드뭄.

           (  신기능이 나빠 AG를 피해야 할 환자의 G(-)균 감염증에 쓸 수 있다. )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균제 각론(glycopeptides 외)  (0) 2013.11.30
항균제 각론(Aminogycostdes,MLS group)  (0) 2013.11.30
항균제 각론 (penicillin계)  (0) 2013.11.30
항균요법 외래 급성감염  (0) 2013.11.30
HIV-western blot  (0) 2013.11.25
by 매야 2013. 11. 30. 23:11

Pencillin계 항균제

 - 기본구조 : Thiazolidine ring, B-latam ring과 side chain

 페니실린의 분류 
 Natural penicillins Penicillin G : Aqueous, Procaine, Benzathine
 Penicillin G potassium or sodium
 Penicillin V
 Penicillinase-resistant penicillins(Antistaphylococcal peniicillins)
 Methicillin, Nafcillin, Isoxazolyl penicillins(cloxacillin, oxacillin)
 Aminopenicillins Ampicicillin, Amoxicillin
 Carboxy and indanyl penicillins
 Ticarcillin, Carbenicillin, Sulbenicillin
 Extended-spectrum ueridopenicillins(Antipseudomonas penicillin) 
  Azlocillin, Mezlocillin,Piperacillin, Aplacillin

 

 

1. 작용기전

 

 세균의 세포벽에 작용 : PBP(penicillin-binding protein)에 결합  →  세포벽 합성억제

 

2. 항균범위

 

(1) Penicillin

 - Streptococcus pyrogenes, S. viridans, Pneumococcus에 가장 강력한 항균제

   (국내 ; Pneumococcus의 penicillin 내성률 70% 이상    3세대 cepha 사용

 -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는 penicillin에 듣지 않는다.

 - Enterococcus는 penicillin만 쓰면 번식만 정지되고 죽지않음(tolerance)

 - 혐기성 세균 : 구강의 정상 상재균인 Peptococci, Peptostreptococci, Fusobacterium, Actinomyces에 대해서는 강한 살균력이 있으나 위장관의 정상 상재균인 Bacteroides fragilis는 B-lactamase를 만들어 penicillin에 안 듣는다.

 - Neiseria : N. meningitidis에는 잘 듣지만, N. gonorrhea는 Penicillinase를 만드는 내성균주가 50% 이상 (우리나라)

 - spirochetes : syphilis, leptospirosis

 - G(-) rods에는 잘 안듣는다.

 

(2)Penicillinase-stable Penicillin(Anti-Staphylococcal Penicillin)

 - 종류 : methicillin, nafcillin, oxacillin, cloxacillin

 - Staphylococcus를 겨냥해서 개발된 penicillin으로서 sraphylococcus이외의 세균에 대한 항균력은 penicillin보다 훨씬 못하다.

 

 (3) Ampicillin

 - G(+)균에 대해서는 penicillin과 같고 G(-) rods에도 효과가 있는 광범위 penicillin

 - E. coli, Proteus mirabilis, Hemophilus influenzae, Salmonella, Shigella 등의 G(-) rods에도 들음

 - But, B-lactamase에 의해 파괴됨

 - 우리나라 Shigella의 ampicillin내성률은 80%이상, E, coli도 내성률 높고 H. influezae도 점차 내성 증가

 

 ** Amoxacillin : 항균범위는 ampicillin과 같으나 위장관 흡수가 잘 됨

                       → ottis media, sinusitis, chronic bronchitis의 악화 등에 사용

 (4) Anti-pseudomonal penicillin

- G(-)rods에 대한 항균력이 ampicillin 보다 더 센 광범위 penicillin

- Enterobacter, indol(+) Proteus, Morganella, 특히 Psuedomonas aeruginosa에 잘 들음

- carboxy-penicillin : carbenicillin, ticarcillin

- ureido-penicillin : piperacillin, azlocillin, mezlocillin - Pseudomonas에 우수  

 

 (5) B-lactam 항생제와

Pencillin계 항균제

 - 기본구조 : Thiazolidine ring, B-latam ring과 side chain

 페니실린의 분류 
 Natural penicillins Penicillin G : Aqueous, Procaine, Benzathine
 Penicillin G potassium or sodium
 Penicillin V
 Penicillinase-resistant penicillins(Antistaphylococcal peniicillins)
 Methicillin, Nafcillin, Isoxazolyl penicillins(cloxacillin, oxacillin)
 Aminopenicillins Ampicicillin, Amoxicillin
 Carboxy and indanyl penicillins
 Ticarcillin, Carbenicillin, Sulbenicillin
 Extended-spectrum ueridopenicillins(Antipseudomonas penicillin) 
  Azlocillin, Mezlocillin,Piperacillin, Aplacillin

 

 

1. 작용기전

 

 세균의 세포벽에 작용 : PBP(penicillin-binding protein)에 결합  →  세포벽 합성억제

 

2. 항균범위

 

(1) Penicillin

 - Streptococcus pyrogenes, S. viridans, Pneumococcus에 가장 강력한 항균제

   (국내 ; Pneumococcus의 penicillin 내성률 70% 이상    3세대 cepha 사용

 -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는 penicillin에 듣지 않는다.

 - Enterococcus는 penicillin만 쓰면 번식만 정지되고 죽지않음(tolerance)

 - 혐기성 세균 : 구강의 정상 상재균인 Peptococci, Peptostreptococci, Fusobacterium, Actinomyces에 대해서는 강한 살균력이 있으나 위장관의 정상 상재균인 Bacteroides fragilis는 B-lactamase를 만들어 penicillin에 안 듣는다.

 - Neiseria : N. meningitidis에는 잘 듣지만, N. gonorrhea는 Penicillinase를 만드는 내성균주가 50% 이상 (우리나라)

 - spirochetes : syphilis, leptospirosis

 - G(-) rods에는 잘 안듣는다.

 

(2)Penicillinase-stable Penicillin(Anti-Staphylococcal Penicillin)

 - 종류 : methicillin, nafcillin, oxacillin, cloxacillin

 - Staphylococcus를 겨냥해서 개발된 penicillin으로서 sraphylococcus이외의 세균에 대한 항균력은 penicillin보다 훨씬 못하다.

 

 (3) Ampicillin

 - G(+)균에 대해서는 penicillin과 같고 G(-) rods에도 효과가 있는 광범위 penicillin

 - E. coli, Proteus mirabilis, Hemophilus influenzae, Salmonella, Shigella 등의 G(-) rods에도 들음

 - But, B-lactamase에 의해 파괴됨

 - 우리나라 Shigella의 ampicillin내성률은 80%이상, E, coli도 내성률 높고 H. influezae도 점차 내성 증가

 

 ** Amoxacillin : 항균범위는 ampicillin과 같으나 위장관 흡수가 잘 됨

                       → ottis media, sinusitis, chronic bronchitis의 악화 등에 사용

 (4) Anti-pseudomonal penicillin

- G(-)rods에 대한 항균력이 ampicillin 보다 더 센 광범위 penicillin

- Enterobacter, indol(+) Proteus, Morganella, 특히 Psuedomonas aeruginosa에 잘 들음

- carboxy-penicillin : carbenicillin, ticarcillin

- ureido-penicillin : piperacillin, azlocillin, mezlocillin - Pseudomonas에 우수  

 (5) B-lactam 항생제와 B-lactamase inhibitor의 복합체

- 예 : amoxacillin/clavulanate(Augmentin), ampicillin/sulbactam(Unasyn),

     piperacillin/tazobactam(Tazocin), cefoperazone/sulbactam(Sulperazone).

     ticarcillin/clavulanate(Timentin)

- plamid사 B-lactamase를 만드는 S. aureus, H.influenza, N. gonorrhea, E.coli, Klebsiela, Proteus에는 듣지만, chromosome이 B-lactamase를 만드는 Pseudomonas, Emterobacter, Serratia, Morganella에는 듣지 않는다.

- 사용 : acute OM, acute sisusitis, bronchitis 등의 호흡기 감염, UTI, skin infection, 복강내 감염 및 PID(∵anaerobes에 대한 항균력 우수)

 

약리학

- Penicillin계 항생제는 위산에 약함

- Penicillin V, amoxicillin, ampicillin, cloxacillin, dicloxacillin은 경구 투여가능

-반감기 : 한시간 남짓으로 짧다

-온 몸에 잘 퍼지고 특히 소변에서 농도가 높다

-지용성 ↓  →  세포 안으로 잘 침투 못하고 CSF에서도 농도가 낮다.

-신세뇨관의 상피세포로 배설 → 신기능이 떨어진 환자에 쓸 때는 용량을 조절해야 (probenecid : penicillin의 배설을 억제 → 혈중 penicillin을 장시간 고농도로 유지)

 

부작용

- 모든 항생제중 독성이 가장 적다

- 아나필락시스 : 1~5/10,000건, 10%는 사망(투여전에 skin test)

- 지연과민반응 : maculopapualr rash, drug fever, eosinophilia

    (IgE-매개반응이 아니므로 피부반응검사를 해도 미리 알 수 없다.)

- 기타 : drug fever, intestinal S/E(diarrhea), hematologic(neutropenia, platelet dysfunction, hemolytic anemia), AST의 약간 상승(oxacillin, nafcillin, carbenicillin 등에서 볼 수 있다), seizure(신기능 나쁜 환자에서 penicillin G 대량 투여시), nephrotoxicity(allergic angitis, interstitial nephritis)...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균제 각론(Aminogycostdes,MLS group)  (0) 2013.11.30
항균제 각론 (cephalosporin계)  (0) 2013.11.30
항균요법 외래 급성감염  (0) 2013.11.30
HIV-western blot  (0) 2013.11.25
EGD reading  (0) 2013.10.29
by 매야 2013. 11. 30. 23:10

  Antimicrobial Theraphy

 

항균제 사용원칙

 

 선택원칙

 1) 가능하면 베타락탐계를 선택(살균작용강하며 용량증가시 무해함)

 2) 균 검사까지는 광범위 항균제를 선택

 3) 원인균 예측 가능한 보통 감염에는 광범위 항균제를 선택

 4) 재발성 환자 : 항내성균제 선택

 5) 중증 응급시는 발병균 판명까지는 광범위 항균제를 선택

 6) 임부 및 소아 : 베타락탐계 선택

 7) 혈중농도보다는 감염부위에의 조직 농도 높은 것을 선택

 

용량 및 사용 기간

 1) 내성 억제 목적으로

   1. 고량 선택

   2. 충분기간 사용

   3. 열 내린 후도 3~4일 투약 지속

 2) 정균 작용제는 지시 용량 이상 증가하면 부작용 발생하므로 정량까지만 투약하고

  베타락탐계를 추가

 3) 난치성 녹농균 : 아미노당계 최대용량까지만 국한하고 항녹농균성 베타락탐계를 병용

 

예방목적

 1) 항균제는 대부분 예방목적으로 투약되며 광범위 살균성 제제를 사용

 2) 수술전, 발치하기 전, 접촉 전 등 30분전 투약하여 2시간 정도 내에서 최대 활성 나타내는 것을

   선택(예:베타락탐계)

 3) 특히 포도상구균에 듣는 것을 선정

 4) 수술 후 감염 예방에는 세파계 중 2세대를 선정(1세대는 보통 감염에 사용하며, 3세대는 중증감

   염치료에 사용)

 

부신피질 호르몬제와 병용시

 베타락탐계를 선택하고 정상용량의 2~3배 정도 많은 고용량 사용

 

주요항균제 분류

 1) 베타락탐계 살균성, 용량증가 가능, 임부유아에 가장 안전
 광범위 Amoxicillin 일반감염에 1차 선택약
 Cepha계 일반 감염, 수술후 예방, 중증 감염
 Carbapenem계 중증감염
 협범위 Cloxacin G(+), 항내성 포도상구균
 Aztreonam G(-) (녹농균 포함)
 아미노당계 항균제를 대체 가능
 Piperacillin 녹농균 제균시 아미노당계와 병용
 내성 제거 Clavulanic acid. 베타락탐계와 병용시 내성균을
  Sulbactam 감수성균으로 변화시켜줌
 2) Quinolon 계 살균성, 용량 불가능, 임부유아에 주의
 광범위 Ciplofloxacin 일반감염 및 중증 감염
 협범위 Pipedemic acid. 요로감염 유발, 모든 G(-) 균 살균
 3) Tetracycline 정균작용, 용량증가 불가능, 임부사용금기
 광범위 Doxycycline 요로감염균, chlamydia에 사용
 기타 대부분의 균에 내성
 4) Macrolide계 정균작용, 용량증가 불가능
 중범위 Erythromycin Amoxicillin 알러지에 사용
 Azithromycin 호흡기 감염, 피부감염
 Clarithromycin 위장병균(Helicobacter)제거
 5) 아미노당계 살균작용, 용량증가 불가능, 녹농균 살균
 광범위 Gentamycin 중증 위급 감염에 병용
 6) Rifamycin계 살균 작용, 용량증가 불가능, 항결핵
 광범위 Rifampicin 항결핵제, 타약과 병용
 7) 설파계 정균작용, 용량증가 불가능, Trimetoprim과 배합사용
 광범위 Co-trimazole 방광염-Sulfamethoxzole 배합제
 8) 기타  

 

 급성감염(외래환자) : 성인의 경우

 

 지침 : 예측균에 의거하여 선정

 

 A. 피부 연조직 감염(Soft tissue infection) 

 

 B. 위장계 감염(Gastrointestinal Infection)

 감염증 발병균 항균요법
 위장감염 Salmonella 항균요법 불필요함
  Shigella (1)TMP-SMZ : 160/800mg tab. Bid
 (이질균) (2)Ampicilline : 0.5g q6h
 (3)Ciplofloxacin 0.5g q12h
    이 세가지 중 선택, 5일간 투약
 Campylobacter (1)Eythromycin : 0.5g q6h
 (2)Ciplofloxacin 0.5g q12h
  이 둘 중 선택, 5일간 투약
  Entamoeba histolyca (1)Metronidazole : 750mg q8h
  5~10일간 투약
   

C. 호흡기 감염(Respiratory Infection)

 감염증 발병균 항균요법
 인두염 Streptococcus (1)Amoxicillin 0.5g q8h 10일
 Pharyngitis (2)Erythromycin : 0.5g q6h 10일
 (3)Azithromycin 첫날 1회 500mg
   2~5일 250mg
 중이염 Staphylococcus (1)Ampicilline : 0.5g q6h 10일
 Ottis media(포도상구균) (2)Amoxicillin 0.5g q8h 10일
 H.influenza (3)TMP-SMZ : 160~800mg tab. Bid 10일
  (4)Amox-Clav 0.5g q8h10일
 Moraxella (5)Cefuroxime 0.5g q8h 10일
 catarrhalis (6)Cefixime 0.2~0.4g 1일 1회 10일
 급성부비강염 S. pneumonia (1)Ampicilline : 0.5g q6h 10일
 Sinusitis(연쇄상구균) (2)Amoxicillin 0.5g q8h 10일
 H.influenza (3)TMP-SMZ : 160~800mg tab. Bid 
 (4)Amox-Clav 0.5g q8h10일
 Moraxella (5)Cefuroxime 0.5g bid 10일
  catarrhalis (6)Cefixime 0.2~0.4g 1일 1회 10일
 급성기관지염 S. pneumonia (1)Doxycycline 100mg bid 10일
 (Bronchitis) (2)Erythromycin : 0.5g q6h 10일
 (폐색성 폐질환 H.influenza (3)Amoxicillin 0.5g q8h 10일
 없는자) (4)TMP-SMZ : 160~800mg tab. Bid 10일
 흡인성 폐렴 구강잡균 (1)Clindamycin  :0.3g q6h 10~14일
 (Aspiration  (혐기성 포함) (2)Amoxicillin 0.5g q8h 10~14일
  pneumonia
 폐렴 Streptococcus  pneumonia (1)Erythromycin : 0.5g q6h 10~14일
 Pneumonia Mycoplasma  pneumonia
 Legionella  pneumonia (2)Amoxicillin 0.5g q8h 10~14일
 Chlamydia  pneumonia

   

D.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감염증 발병균 항균요법
 방광염 E.coli (1)TMP-SMZ : 160~800mg bid 3일
 Cystitis K. pneumonia (2) Ciprofloxacin : 500mg bid 3일
 Proteus (3)Ofloxacin : 400mg bid 3일
  S. saprophytis 
 신우신염 E.coli (1)TMP-SMZ : 160~800mg bid 10일
 Pyelonephritis K. pneumonia (2) Ciprofloxacin : 500mg bid 10일
 Proteus (3)Ofloxacin : 400mg bid 3일
  S. saprophytis 
 표식1 TMP-SMZ : Trimethoprim 160mg + Sulfamethoxazole 800mg
 표식2 Amox-Clav : Amoxicillin 500mg + Clavulanic acid 100mg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균제 각론 (cephalosporin계)  (0) 2013.11.30
항균제 각론 (penicillin계)  (0) 2013.11.30
HIV-western blot  (0) 2013.11.25
EGD reading  (0) 2013.10.29
sbtube  (0) 2013.09.27
by 매야 2013. 11. 30. 23:09

Western Blot Analysis?

Western blot는 찾고자 하는 단백질을 표적화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항원-항체 반응을 통해 특정한 단백질을 검출해내는 기법으로 ‘immunoblot’이라고도 한다. 여러 단백질을 환원제로 용해시킨 후 SDS-polyacrylamide gel에 전기영동한 후 nitrocellulose 또는 nylone membrane에 옮긴 후 단백질이 옮겨진 membrane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특정 항체에 대한 단백질을 찾아낸다단백질을 옮기는 과정을 western blot 또는 western transfer 라고 한다.

Western blot 이라는 단어는 DNA를 검출하는 Southern blot에서 나온 말장난으로 Southern blot은 Edward Southern가 발견하였다같은 이유로 mRNA를 검출하는 기법은 Northern blot이라고 한다.

 

Western blot의 원리

기본 원리는 전기영동과 blotting, 그리고 항원-항체반응이다우선 단백질의 혼합물로부터 특정 단백질을 검출하기 위해서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크기 별로 분리한다이 과정에서 단백질을 순수하게 크기별로 분리해 내기 위해서단백질의 단위 질량당 전하량와 3차원적 구조를 모두 같게 해줘야 한다.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경우에는 SDS를 이용하여 단백질이 모두 단위 질량당 같은 정도의 음 전하를 띠게 하여각각의 단백질간의 전하 차이를 제거하고단백질의 이차원적, 3차원적 구조를 깨뜨려서 모양의 차이로 인한 이동 속도의 변화를 없게 해준다따라서 SDS-PAGE를 하면 단백질은 크기에 따라 음극으로부터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작은 크기의 단백질이 큰 단백질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단백질이 크기에 따라 분리 된다단백질을 크기 별로 분리해낸 후에 단백질을 gel에서 membrane으로 이동시킨다이 과정에서도 단백질의 전하 특성을 이용하여, - electrode 쪽에 gel, + electrode 쪽에 membrane을 놓아서 단백질이 membrane으로 이동하게 된다이 방법을 통해 크기 별로 분리된 단백질이 그대로 membrane으로 이동한다. membrane으로 옮긴 후에 찾고자하는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그 단백질을 검출한다.

 

Western blot의 과정

Tissue preparation

샘플은 whole tissue나 세포배양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대부분의 경우 고체 상태의 조직이 믹서기조직분쇄기고주파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조각 내진다세포도 이와 같은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나 박테리아바이러스환경적인 샘플 또한 단백질의 제공원이 될 수 있기 때문에 western blotting은 세포 연구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러 종류의 계면활성제완충용액 등이 세포의 lysis를 일으키고 단백질을 용해한다종종 Protease phosphatase inhibitor가 더해져서 샘플이 자체의 효소로 인해 분해되는 것을 막는다생화학적 방법과 기계적인 기법의 조화에 의해 세포 내 소기관이 분리된다.

 

Gel electrophoresis

단백질을 분리하는 단계로 샘플의 단백질들은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해서 분리가 된다단백질은 isoelectric point (pI), 분자량전하량혹은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다분리는 샘플과 gel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현재까지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은 SDS-PAGE로 polyacrylamide gels과 sodium dodecyl sulfate (SDS)를 넣은 완충용액을 이용한다.

SDS-PAGE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는 polypeptide가 강한 환원제에 의해 이차구조와 삼차구조가 풀린 denatured state로 유지하게 하여 단백질이 분자량에 의해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단백질 샘플들은 negatively charged SDS에 의해 쌓여서gel의 acrylamide mesh 사이로 이동하여 양극으로 향한다작은 단백질은 gel에서 더 빨리 움직이고 큰 단백질들은 더 느리게 움직여 단백질들은 크기에 의해서 나누어지게 된다. acrylamide의 농도는 gel의 단백질 분리능력을 결정하는데 acrylamide concentration이 클수록 작은 분자들이 더 잘 분리될 수 있다반대로 acrylamide concentration이 작을수록 큰 분자량의 단백질들이 잘 분리된다단백질들은 대부분의 blot에서 일차적으로만 움직여 한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샘플을 gel well에 넣고 한 lane에는 주로 marker ladder를 넣어준다. marker ladder는 알고 있는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로 구성이 되어있으며 염색되어 눈에 보이는 띠를 형성하게 된다. Gel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단백질은 크기에 의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게 된다이러한 다른 속도에 의해 단백질들은 각각의 lane에서 여러 band로 나위게 된다two-dimensional (2-D) gel의 경우에는 단백질 샘플을 일차원적으로 분리한 후에 90도를 돌려 단백질의 다른 특성으로 다시 분리해내어 이차원적으로 단백질을 분리한다 단백질은 처음에는 isoelectric point에 의해서 나눠지고 90도를 돌려서 분리할 때에는 분자량에 의해서 서로 나누어지게 된다.

Blotting

단백질이 항체의 검출에 접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젤에서 nitrocellulose PVDF으로 만들어진 membrane으로 옮긴다. Membrane은 gel의 위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티슈 종이를 올린다티슈종이 전체가 capillary action에 의해 위로 이동하는 완충용액에 위치하여 단백질도 함께 이동한다단백질을 옮기는 다른 방법은 electroblotting으로 전류를 이용해서 gel에 위치하고 있는 단백질을 PVDF 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옮겨준다단백질은 옮겨질 때 gel에 있었던 구성 그대로membrane으로 옮겨진다이러한 blotting 과정에 의해서 단백질은 얇은 membrane에 위치하게 된다이러한 membrane들은 비특이적으로 모든 단백질과 잘 결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단백질이 결합하는 것은 hydrophobic interaction과 membrane protein charged interaction에 의해서이다. Nitrocellulose membrane은 PVDF보다 값이 싸지만 더 망가지기 쉬우며 반복적인 probing에 약하다. gel에서 membrane으로의 이동의 일치와 전체적인 효과는 membrane을 Coomassie나 Ponceau S로 염색을 하여 알 수 있다. Coomassie가 감도가 더 좋은 편이나 Ponceau S는 물에 잘 녹아 염색이 된 후에도 쉽게 탈색되고 probe 가 잘 붙을 수 있다.

 

Detection

1.     Blocking

첫 번째 단계는 membrane blocking으로 막을 bovine serum albumin (BSA) 용액이나 non-fat dry milk (NFDM)에 놓아둔다이 단계는 membrane과 항체 사이의 비특이적인 단백질 상호작용을 줄인다.

2.     Primary Antibody

검출하고자 하는 단백질에 특이적인 일차 항체는 membrane과 함께 배양된다항체는 carrier protein (BSA or NFDM)과 조금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buffer solution (PBS)에 의해 희석된다일차 항체는 검출하려는 단백질에 특이적이며 적절한 농도에서 membrane에 있는 다른 단백질과는 결합하지 않아야 한다

3.     Secondary Antibody

결합되지 않은 일차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 membrane을 헹구어 낸 후에 secondary antibody를 membrane에 넣는다이차 항체는 primary antibody에 붙는데 주로 형광물질을 제공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enzyme가 연관이 된다형광불질에 대한 대안으로 radioactive label이 이용되기도 한다.

4.     Developing

결합되지 못한 secondary antibody는 다시 씻겨내고 membrane에 결합된 이차 항체의 위치에서 빛을 낼 수 있도록 효소의 기질을 membrane에 넣어준다현상한 필름에서는 검출된 단백질에 해당하는 띠 모양이 어두운 영역으로 보일 것이다다른 레인에서의 서로 다른 띠 모양의 밀도는 비교되어 검출하려 한 단백질의 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Western blot의 임상적 이용

Western blot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이 되나 가장 대표적으로 이용이 되는 것이 에이즈 검사이다에이즈 검사는 처음에는 ELISA로 검사하는데 이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오면 에이즈가 아니라고 할 수는 있으나 양성으로 나온 경우에도 HIV에 감염되어있지 않을 확률이 높다따라서 ELISA로 검사하여 양성반응이 나온 경우 Western Blot으로 다시 확인을 한다. Western Blot은 ELISA보다 더 정확한 검사 방법이면 현재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검사를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소가 광우병에 걸렸는지를 진단 할 때에도 Western Blot을 이용한다고 한다광우병 진단을 위해 일본과 유럽에서는 Western Blot을 사용하고 있으며 Western Blot 이외에도 immunohistochemistry(IHC)라는 검사방법 등도 이용한다.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균제 각론 (penicillin계)  (0) 2013.11.30
항균요법 외래 급성감염  (0) 2013.11.30
EGD reading  (0) 2013.10.29
sbtube  (0) 2013.09.27
fluconazole 150mg, itraconazole 100㎎  (0) 2013.09.16
by 매야 2013. 11. 25. 17:42

[Finding]

Preparation : venocaine spray

sedation : none


Finding :

Esophagus : mild erythema c touch-bleeding at LES (Lower Esophageal Sphincter 하부식도 괄약근)with 

Grade A(One or more mucosal breaks < 5 mm in maximal length) RE (Reflux esophagitis)



Stomach : diffuse erythematous mucosal change at body with visible vessels. scarring at antrum - Bx not done for bleeding risk


Duodenum : WNL



Pathology(-)

CLO(시행안함)




[Conclusion]

IMP :

1. LA-A RE

LA분류법(미란성 식도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내시경 분류는 LA분류법이며 Group A~D로 분류하고 여기에 여기에 미세변화(minimal change)에 의한 병변과 합병증을 기술한다.  

 역류성 식도염의 LA 분류
 Group A : 한 개 이상의 mucosal break가 점막주름에 국한되고 각각의 크기가 5mm 이하
 Group B : 적어도 1개의 mucosal break가 점막주름에 국한되면서 5mm이상이고 두점막
            주름의 윗부분에 비연속적인 경우 
 Group C : 서로 융합성을 보이는 mucosal break가 전주성이 아닌 경우(75%미만)
 Group D : 전주성(circumferential) mucosal break(75%이상)

(위식도역류 질환, 2002, 대한 소화기학회 gastrokorea. org)

 

위점막과 식도점막의 불분명한 경계(z-line blurring), 경계가 불분명한 발적(indistinct erythema / hyperemia), 백색혼탁(white turbid dislocation), 혈관상의 소실(loss of vascularity) 등 미세 변화는 주의깊게 관찰하면 발견이 되는데 역류성 식도염을 진단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다.



2. atrophic gastritis



3. GU(S2) at antrum


위궤양의 깊이의 분류 (무라카미의 UI 분류)


active stage(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의 활동 기간)

A1: 두꺼운 흰색 이끼, 검정 이끼를 달고있어 주위점막이 부종모양으로 부푼재생 상피가 전혀 허용되지 않는 시간

A2 : 주위의 부종이 약해지고 궤양 부위가 명확하게 구분되며, 궤양 가장자리에 붉은색의 재생 상피가 있다. 궤양 변연의 다홍색 후광이나 궤양 가장자리에 순백이끼 띠가 보이는 경우가 많다. 궤양을 둘러싼 점막 주름의 집중이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


healing stage(위궤양 치유 과정기)

H1 : 흰색 이끼가 진해지기 시작, 재생상피가 궤양 내로 밀려온다. 궤양이 얕고 백태의 주변이 원활하여 재생상피가 잘 보이고 주위의 점막추벽이 병변의 주변까지 집중된다.

H2: 궤양의 축소가 현저해지고 백태가 얇아지면서 재생상피가 넓게 관찰되는 시기


scarring stage (반흔기)

S1: 반흔기는 궤양의 점막 결손이 완전히 치유된 시기로 재생상피가 피복된 상태.

S2 : 발적도 없어지고 재생상피가 두꺼워지면서 주위 점막과 같은 색조를 띤다. 주름의 집중도 없어진다. 이 시기가 되면 재발하기 어렵게 된다.



 

 SAVARY-MILLER 분류
 StageⅠ: 한 개 혹은 여러 개의 선상의 미란이 식도 점막 선단에(Z-선 부위 혹은 상방으로
           존재하며 서로 분명하게 떨어져 있는 경우 
 StageⅡ : 식도점막주름의 선상미란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융합하지만 전체의 원주를 다   
            차지하지 않는 경우 
 StageⅢ: 모든 미란이 원주방향으로 융합하여 하나의 띠를 만들고 있는 형태
 StageⅣ: 궤양, 협착, 식도단축 등의 만성합병증이 동반된 경우  
 Ⅳa : 식도궤양이 나타나며 전주성 협착, 식도 단축, Brrett metaplasia 수반
 Ⅳb : 점막의 미란이나 궤양이 있든 없든 소화성 협착을 보이는 경우 

(삼성서울병원 내과 연수 강좌, 1999)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균요법 외래 급성감염  (0) 2013.11.30
HIV-western blot  (0) 2013.11.25
sbtube  (0) 2013.09.27
fluconazole 150mg, itraconazole 100㎎  (0) 2013.09.16
원내 위험약물  (0) 2013.09.04
by 매야 2013. 10. 29. 05:27
|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