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신피질호르몬제 Steroids

경구용

  • Prednisolone, Prednisone, Methylprednisolone, Triamcinolone, Dexamethasone, Betamethasone, Deflazacort, Methylprednisolone, Paramethasone acetate, Triamcinolone

주사제제

  • Methylprednisolone, Triamcinolone

외용제

  • 피부 : Alclometasone dipropionate, Amcinonide, Clobetasole propionate, Desoxymethasone, Diflorasone diacetate, Diflucortolone, Difluprednate, Fluocinolone acetonide, Fluocinide, Fluocortolone, Halcinonide, Methylprednisolone, Mometasone furoate, Prednicarbate
  • 안과제제 : Fluorometholone, Medryson
  • 흡입 : Beclometasone dipropionate, Budesonide, Flunisolide, Fluticasone propionate, Triamcinolone
  • 미네랄로 코르티코이드 제제 : Fludrocortisone acetate

[1] 작용기전

유전자의 활성화

이들은 세포로 들어가 특이한 세포질 수용체와 결합하여 활성화된 다음 핵으로 들어가 mRNA 합성을 촉진시켜 단백합성을 자극하여 호르몬의 작용을 나타낸다. 단백합성이 작용기전이므로 발현시간은 30분에서 2시간으로 느린 편이며 부신피질 호르몬의 작용은 다른 호르몬의 작용들과 연관되어 있다.

대사적 영향

당신생(gluconeogenesis), 글리코겐 저장, 인슐린 요구도 증가의 효과를 나타내며 장기투여시 글루카곤의 혈중농도가 증가하여 고혈당증과 당뇨의 악화를 가져오기도 한다.

단백분해를 촉진하여 단백합성을 억제하고, 골격근에서 단백이 상실되고 근육위축을 가져온다. 이러한 이유로 소아의 성장이 억제되고 상처치유가 지연될 있다.

지방조직에서 지방분해의 증가와 지방의 체내 재분포로 buffalo hump, moon face 등의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칼슘, 인의 이동을 증가시켜 골다공증을 유발한다.

수분저류

Na+, 수분의 저류로 부종, 고혈압을 유발하며 K+ 방출시켜 저칼륨성 알칼리증을 일으킬 있다. 이는 mineralocorticoid 효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합성된 스테로이드는 이에 대한 영향이 적다.

항염증 효과

세포내에서 mRNA transcription 일으키어 lipocortin(lipomodulin)이라는 단백질 합성을 유도한다. lipocortin 세포막 인지질에서 arachidonic acid 생성하게 하는 phospholipase A2 억제하여 염증반응 매개체인 prostaglandins thromboxanes, leukotrienes등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혈관투과성 항진, 부종, fibrin 침착, 백혈구의 염증부위 이동 등의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면역억제효과

혈중 림프구, 호산구, 단구, 호염구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T 림프구, B 림프구 감소 기능저해로 순환하는 림프구와 식균세포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억제하는데 사용한다.

중추효과

기분상승, 쾌감, 불면, 불안, 활동성 증가 등이 나타난다.

기타

세포분열의 감소로 소아의 성장을 지연시키고 위산분비를 증가시킨다.

여러 종류의 유해한 자극이나 환경의 변화(스트레스)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켜 준다.

[2] 적응증  

급성 부신기능부전

고용량의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갑자기 중단한 경우 나타나며 등장 NaCl 용액에 포도당을 첨가하여 주사하되 처음 24시간 동안 투여되는 수액의 양이 체중의 5% 넘지 않도록 한다.

만성 원발성 부신기능부전

부신제거술 또는 부신피질의 손상시 cortisol로써 20-30 mg/day 나누어 투여한다. (기상시는 20 mg, 늦은 오후에 10 mg 여할 있다)

뇌하수체 전엽 부전으로 인한 2차성 부신기능부전

부신피질 호르몬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기상시 cortisol로써 20 mg, 늦은 오후에 10 mg 투여한다.

선천성 부신비대증

21-Hydroxylase 활성의 저하로 인한 것으로 cortisol 0.6 mg/kg/day 2-4회로 나누어 투여하거나 fludricortisone 0.05-0. 2 mg/day 투여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Aspirin, NSAIDs 등으로 치료가 되지 않을 선택될 있는데, corticosteroid 요법을 시작할 경우 수년 동안 치료를 계속해야 하므로 신중히 고려한 시작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소량으로 시작하여 조절될 때까지 천천히 용량을 늘려나간다. 완전한 치료는 되지 않는다.

류마티스성 심장염

Salicylate 요법에 실패했을 경우나 발열, 급성 울혈성 심부전, 부정맥, 심낭염을 수반하는 경우 초기치료로 선택될 있다. Prednisone 40 mg/day 또는 이상 투여가능하며 스테로이드 중단 재발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salicylate 요법을 병행한다.

신질환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원발성 신질환에 의한 신증후군에 prednisone 60 mg/day 3-4 사용하며 이뇨, 단백뇨의 감소 증세가 호전되면 유지요법으로 1 정도 치료한다.

콜라겐질환

다발성근염(polymyositis), 다발동맥염, 육아종성 다발동맥염 환자 (공피증(scleroderma) 제외) 경우, prednisone 1 mg /kg/day 치료하고 증상이 호전되면 최소 용량으로 점차 감량한다.

전격성 SLE(fulminating SLE) 치명적인 상태로 prednisone 1 mg/kg/day 투여로 24시간 내에 열이 내리고 관절염, 븍막염, 심내막염의 증상이 호전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매일 20 mg 증량할 있다. 증상이 조절되면 점차 용량을 감소시킨다 (1주일에 5 mg 감량). salicylate 계열 약물을 추가한다. 어떤 SLE 환자의 경우에는 azathioprine이나 cyclophosphamide 병용하기도 한다.

알레르기성 질환

일시적인 질환(담마진, 고초열, 접촉성 피부염, 약인성, 혈관성 부종 ) 경우 1 치료에 적당량을 추가할 있다.

천식

지속성 천식 발작시 초기에 고용량으로 투여해야 한다. 발작이 조절된 경구로 바꾸어 점차 용량을 감소시킨다. 천식의 급성 악화시는 prednisone 30 mg 1 2 5일간 투여하고 중증의 만성 천식에는 흡입용 제제를 사용한다.

안과질환

외부와 전구 부분에 국소 적용한다.

피부질환

습진성 발진에 1% cortisol 연고를 국소 적용하고, 급성 피부질환이나 만성질환의 악화시 경구투여 있다.

장관질환

복강 스푸루(celiac sprue), 염증성 장질환에서 휴식, 식이, 항콜린제, 지사제, sulfasalazine, metronidazole 투여로 치료가 안되는 경우 사용한다.

뇌부종을 수반하는 신생물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 림프종 화학요법 - 림프구 억제효과

혈소판감소증

출혈경향을 낮추기 위해 prednisone 0.5 mg/kg/day 투여할 있으며, 심한 용혈시 100 mg cortisol 주사 용량을 감소시킨다.

장기이식

다른 면역억제제와 한께 사용한다.

쇼크

혈압, 심박출량을 단기간 증가시키며 catecholamine 대한 감수성도 증대된다.

[3] 약동학   


동효량(mg)

생리적 반감기 (시간)

반감기

Glucocor
tocoid 효능

Mineralocor
ticoid 효능

소실

Hydrocortisone

20

8-12


1

2

대사체로 신배설

Betamethasone


3

6.5 시간



<5% 미변화 신배설

Deflazacort

6


2시간 (활성형 대사체)



신배설(70%, 미변화-18%)
대변배설 (30%)

Methylprednisolone

4

18-36

3-3.5

5

0


Prednisolone

5

18-36


4

1


Triamcinolone

4

1836


5

0


Dexamethasone

0.75

36-54

1.8-3.5

20-30

0

소변 대변 배설

 

[4] 부작용 : 전신 투여  

고용량 장기 요법의 경우

외적 변화 (환자 인지 가능)

구분

증상

정신적인 장애

비만

피부이상

신경예민, 불면증, 불안, 우울증, 조울증, 정신분열증

주로 경부 뒤쪽, 쇄골 상부 복부에 지방이 축적, 사지는 몸에 비해 가늘어지고 얼굴은 만원형으로 붉어짐

steroid 단백 분해 작용으로 피부가 얇고 약해짐. 모세혈관이 약화되어 가벼운 외상에도 반상출혈이 유발됨

 

내적 변화 (환자가 인지 어려움)

  • 부신피질 위축 (steroid 사용량과 기간에 따라 다양).
    대처법 ☞ 속효성, 중간형 제제 투여의 경우나 격일요법은 발현율이 낮다
  • 고혈당 : 당생산량 증가, 당이용률 저하에 기인한다.
    대처법 ☞ 뇨당과 혈당의 정기적 검진으로 발현시 식이요법 약물요법으로 조절한다.
  • 면역 억제 작용 : 감염에 대한 감수성 증가
    대처법 ☞ 감염 발현시 원인 치료제를 철저히 투여한다.
  • 고지혈증
    스테로이드의 지방분해 촉진 작용으로 중등도의 고콜레스테롤혈증 현저한 고중성지방혈증이 나타날 있다.
  • 위장관 장애 : 소화성 궤양, 장천공, 췌장염
    대처법 ☞ 위장관 장애가 있는 환자의 경우 예방적으로 제산제를 병용시키며 자극적인 식이나 카페인이나 음료를 삼가도록 한다.
  • 안압 증가 : 안압 증가로 녹내장 백내장이 나타날 있다.
    대처법 ☞ 녹내장 가족력이 있는 환자는 안과적 정기 검진을 받도록 한다.
  • 골다공증 : 늑골 척추에서 심하게 발병한다.
    대처법 ☞ 칼슘과 vitamine D 투여로 억제 가능하다.
  • 근육병증 : , 다리, 어깨의 근위 근육이 약해지며 치료 중단의 지표가 된다.

장기 요법 후 갑작스런 투여 중단의 경우

  • 급성 부신 기능 부전증 (Addisonian crisis)
    즉각적이며 효율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는 glucocorticoid 부족으로 탈수, 고칼륨혈증 등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
  • Steroid withdrawal syndrome
    억제되었던 prostaglandin 갑작스런 합성증가, 스테로이드의 급격한 혈중농도 저하, 스테로이드 처치에 대한 정신적 의존성 등에 의해 나타나며 증상으로는 두통, 전신 쇠약감, 근육통, 관절통, 오심, 구토 식욕 감퇴, 체중 저하, 기립성 저혈압 등이 있다.

과량 투여시

  • 과량 투여에 의한 급성 독성에 대한 보고는 드물며 이런 경우 gastric lavage 구토 유도 등의 일반적인 중독 처치법에 따른다.

금기

  • 과민증, 전신적인 진균 감염 상태인 환자.
  • 면역억제를 유발하는 용량 : 생균백신(smallpox ) 투여받고 있는 환자
  • 복용기간 예방접종은 금기

[5] 부작용 : 흡입용 부신피질 호르몬제 top03.gif

경구용 부신피질 호르몬제와 유사하나 발생 빈도는 낮으며 대부분 과량 사용시 (1 15 흡입) 나타난다.

  • 캔디다증(아구창)
    대처법 ☞ 구강 인후의 캔디다증(candida) 흡입 물로 구강을 세척함으로써 예방 가능하고 증후성 캔디다증의 경우는 국소 항진균 요법(: Nystatin gargle ) 실시를 요한다.

[6] 부작용 : 기타 국소 제제 : 피부에 작용하는 약물 참고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도정맥류 내시경소견  (0) 2014.01.11
B-CT  (0) 2014.01.09
항균제 각론(glycopeptides 외)  (0) 2013.11.30
항균제 각론(Aminogycostdes,MLS group)  (0) 2013.11.30
항균제 각론 (cephalosporin계)  (0) 2013.11.30
by 매야 2014. 5. 23.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