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noglycosides(AG)

  -신독성, 이독성이 문제, 내성 문제에도 큰 진전이 없음

  -3세대 cepha, quinolone 등 G(-)균 치료 약제가 늘어나면서 새로운 AG의 개발은 거의 중단된 상태

 

 

 1. 약제

   ; streptomycin, kanamycin, gentamicin, tobramycin, amikacin, netilmicin, astromicin, dibekacin, isepamicin, arbekacin, neolycin, .....

 

 * 참고 : -mycin은 Streptomyces에서 추출된 AG, -micin은 micromonospora에서 추출된 AG, -kacin은 kanamycin 유도체

 

 2. 항균력 및 내성

 - 작용기전 ㅣ 30S ribosome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

 - 내성기전

      ① aminoglycoside를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m/c) - 최소 11개 정도

                amikacin : 2개의 효소에 의해 불활성화 ; 안정성이 가장 우수

                gentamicin, tobramycin : 6~7개에 의해 불활성화 ; 내성 균주 多

      ② ribosomal resistance 

      ③ ineffective transport

 

 3. 투여 및 임상적 적용

 - high polar, 수용성    GI에서는 거의 흡수되지 않음  → 주사로만 사용

        IM시는 혈중 농도의 개인자가 매우 심해

        IV로 30분~1시간동안 점적 주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

        CNS, abscess, 눈, 전립선 등에는 약제가 잘 들어가지 못함

 -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

 - 모든 호기성 G(-)rods 감염증에 우수한 효과 (특히 P.aeruginosa)

        G(+)균과 혐기성 세균에는 안들음

 - gentamicin이 싸고 가장 흔히 쓰임 

 

 4. 부작용

   (1) 신독성(nephrotoxicity)

 - 최저 혈중농도 및 투여기간과 관련

 - non-oliguric renal failre(약제를 중단하면 잘 회복됨)  

       → 계속 사용하면 oliguric renal failre로 진행(회복 어려움)

 - proximal tubule damage ; proteinuria, glucosuria, lipidemia, amino aciduria

 - risk factors; 달수, 고령, 1년 이내에 aminoglycosides를 사용한 사람, loop diuretics 또는 1세대 cepha와 병용하여 사용, 기존의 신장질환 ...

   (2) 이독성(ototoxicity)

 - vestibule, cochlea의 감각세포에 진행성 변화

        → 감각세포가 파괴디면 영구적 장애

 - 최고 혈중농도와 관계, 대부분 예측 불가능(갑자기 발생할 수 있다.)

 - gentamicin > tobramycin, amikacin > netilmicin

   (3) 기타

  : neuromuscular blockade(아주 드뭄), hepatotoxicity, drug fever, skin rash

 

  Macrolides

 - 가장 안전한 약물 중 하나, 싸고 좋다. erythromycin이 대표적

 - 기전 : ribosome에서 단백질 합성 방해

 

 (1) 항균범위

  - 작용범위가 매우 넓다 : G(+)균 (group A, B, C, G streptococcus, pneumococcus),

          G(-)균(M. catarrhalis, N. gonorrhea 등), mycoplasma, chlamydia, richettsiae,

          trichomonas, spirochete

  - Staphylococcus에도 듣지만 내성균이 나타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 Diphteria에 효과가 좋고 탄저병의 치료에도 쓸 수 있다.

 

 (2) 약리학

  - 반감기 짧아 (1~2시간) 자주 투여해야한다.

  - 간을 통해 배설되므로 간이 나쁜 환자에서는 조심해야한다.

    (신기능은 나빠도 용량을 안 줄여도 됨)

  - 위산에 대한 분해에 불안정, bioavailability가 상대적으로 낮음

 

 (3) 사용례(DOC)

  - Mycoplasma 폐렴

  - Legionella 폐렴

  - Chlamydia 폐렴

  - Pertussis (B. pertusis)

  - Campylobacter감염

  - Diphteria

  - penicillin allergy환자에서 다음의 감염증이 있을 때

   ; group A streptococcus에 의한 상기도 감염, pneumococcal 폐렴, 치과치료에 따른 endocarditis의 예방, rheumatic fever의 예방

  - 폐렴이나 기관지염에서 경험적 치료

  - 대장절제술에 따른 감염예방을 위해 aminoglycosides와 함께 사용

 

 (4) 약물 상호 작용

  ; theophyllin, warfarin, digoxin, cyclosporin의 혈중농도 상승

 

 (5) 부작용

 - 부작용이 가장 적은 항균제중 하나

 - 위장장애 (m/c) : 위장운동을 항진

 - estolate형(성인에서)    cholesterol 정체성 간염

 - 일시적인 청력장애(드물다) : 혈중농도가 높을 때

 

 (6) Newer Macrolides

 - 종류 ; azithromycin, clarithromycin이 대표적

  (기타 : roxithromycin, dirithromycin, flurithromycin...)

 - 장점 : 부작용이 적다. 조직침투력이 월등, intracellular organisms에 대한 살균력이 좋다. 반감기 증가( → 투여 횟수 감소)

 - 항균력

     ① azithromycin

              EM보다 강한 것 : H.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Legionella

                pneumophilia, Pasteurella multocida, M. pneumoniae, M.hominis, N.

                gonorrhea, U. orealyticum 

              EM과 비슷 : C. trachomatis, Campylobacter, anaerobic bacteria   

              EM보다 약한 것 : Staphylococci, Streptococci   

     ② clarithromycin

              EM보다 강한 것 :  Staphylococci, Streptococci, L.pneumophilia, 

                 M. catarrhalis, C. trachomatis, Bacteroides fragilis, Clostridium과 몇 가지 

                 anaerobis

              EM과 비슷 : N. gonorrhea, H. ducreyi, Campylobacter

              EM보다 약한 것 : H. influenzae, H. parainfluenzae     

 - 임상효과

     ① azithromycin은 성인은 물론 소아에서도 Chlamydia, Mycoplasma, Legionella는

       물론 H. influenzae와 S. pneumoniae에 의한 호흡기 감염을 비롯하여 피부 연조직 감

       염, 요로감염, 자궁경부염 등에 이용

     ② clarithromycin은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비임균성 요도염과 자궁

        경부염의 치료에도 매우 효과적

     ③ azithromycin과 clarithromycin은 MOTT 감염증에도 훌륭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

        지만 M. tuberculosis에 대한 효과는 아직 불분명

 

  Lincosamides

(1) Lincocin

  - 항균력은 EM과 유사

  - pseudomembraneous colitis는 잘 생기지 않는다.

(2) Clindamycin

  - lincomycin의 구조를 변형시킨 것으로 GI흡수가 더 잘 되고 항균력이 더 강하고 부작용이 적다.

 - 작용기전 : 50S ribosome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

 - 경구로 복용(GI에서 90%정도 빨리 흡수됨), 주로 담즙으로 배설

 - 사용예 : penicillin allergy 환자의 골관절 G(+)균 감염, Bacteroides fragilis에 의한 복강내 감염 및 폐감염, 호기성과 혐기성 세균이 혼합된 경우 (복강내 감염, PID, DM환자에게서 족부 궤양 감염, 일부 호흡기감염), 농양 (pH의 영향을 덜 받아 농양내 작용이 월등), 국소적으로 여드름, 농포, 안구의 toxoplasma 감염증, AIDS환자의 toxoplasma 뇌염

 - 부작용 : pseudomembraneous colitis(만일 약제로는 m/c), 설사, 과민반응, rash, contact dermatitis, 국소적 염증/ 정맥염(IM or IV시), neuromescular blockade(드뭄), AST의 상승(위양성)...

 

 2. Streptogramin

 - quinupristin/dalfopristin (Q/D, Synercid) - 최초로 FDA승인 받은 제제(1999년)

 - 기전 : 50S ribosome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의 후기 단계를 억제

 - 항균력 (G 양성균) ; S. aureus (oxacillin 내성과 관계없이), pneumococci(penicillin 내성과 관계없이), E. faecium (vancomycin내성과 관계없이)

        E. faecalis에는 효과없다.

        vancomycin에 비해 우월한 조직 침투력, 살균 역학으로 심부 Staphylococci감염에

      효과적

        다른 계열의 항균제와 교차내성을 보이지 않음

 - 약동학 : bioavailability가 낮아 IV로만 사용, BBB나 태반 통과 안 됨, 시간 의존성

 - 적응증  

        ① VREF(vancomycin-resistant E. faecium)

        ② MSSA에 의한 합병증이 동반된 피부 연조직 감염

        ③ glycopeptide를 사용할 수 없는 MRSA 감염증

 - 부작용

        ① 정맥성 : 주사부위의 염증, 통증, 부종, 혈전성 정맥염

        ② 비정맥성 : N/V, 설사, 발진,  두통, 소양증, 통증, 가역적인 serum transminase 증

               가, conjugated bilibuinemia (관절통과 근육통 - 투여를 중단해야하는 m/c원인)

 - pregnancy category B(안전)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CT  (0) 2014.01.09
항균제 각론(glycopeptides 외)  (0) 2013.11.30
항균제 각론 (cephalosporin계)  (0) 2013.11.30
항균제 각론 (penicillin계)  (0) 2013.11.30
항균요법 외래 급성감염  (0) 2013.11.30
by 매야 2013. 11. 30. 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