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패혈증의 정의
① 균혈증 : blood culture(+)
② 패혈증(sepsis) : 감염증 의심 + SIRS 2/4 만족 시
SIRS(systemic imflammatory response synd)
① HR > 90/분
② RR > 20/분 or PaCO2< 32mmHg
③ BT > 38 or < 36
④ WBC > 12,000 or < 4,000 or band > 10%
패혈증 증후군(sepsis syndrome)
sepsis + 아래의 organ hypoperfusion 증상
① 심장이나 폐질환으로 설명되지 않는 PAO2/FIO2<280
② lactate가 많아지거나
③ 적어도 1시간 이상 오줌이 0.5ml/kg/hour 보다 적게 나오거나
④ 의식이 나쁘거나
⑤ blood culture에서 세균이 자라지 않더라도 위의 기준에 맞으면 패혈증이나 패혈증증후군을 진단
입원 환자의 패혈증
① UTI
② pneumonia
③ wound 감염
④ CRI
Primary sepsis
① meningococcus에 의한 인후염
② Staph.에 의한 피부모낭염
③ 과립구감소증 환자의 위장관 점막염
Sepsis 치료
① 장기의 perfusion 유지
② 적절한 antibiotics
③ 감염 병소 제거
④ 패혈증 매개 물질 차단
Sepsis에 의한 반응
① 심혈관 : 빈맥, 저혈압, 혈관 저항 감소(“warm shock”)
② 호흡기 : 과호흡 (빈호흡으로 나타남) → hypoxia, ARDS
③ 신장
- 혈류 증가로 단백뇨(+)
- 탈수가 있으면 요 농축
- 신장 혈류가 감소하면 creatinine 농도 증가
- 저혈압으로 ATN이 생기면 신부전 발생
④ 위장관계 : vomiting, diarrhea
- 간기능 이상: AST/ALT, ALP, 빌리루빈 상승
⑤ 혈액-응고계
- 혈소판감소, DIC (점상출혈, purpura)
- 백혈구 증가, 백혈구 감소(심한 패혈증)
- protein C : 감소
⑥ 중추신경계 : 의식 혼탁
⑦ 내분비 대사
- lactate level 증가 → 대사성 산증
- 혈당 상승(스트레스 호르몬에 대한 반응) 또는 감소
- 혈중 알부민농도 감소 - 예후가 나쁘다
- SIADH → 저나트륨혈증
- glucocorticosteroid : 부신의 출혈(meningococcemia)
- euthyroid sick syndrome
패혈증 쇽(septic shock)
패혈증 증후군 + 저혈압
① 수축기 혈압이 90mmHg보다 낮거나,
② 평소 혈압에서 40mmHg 더 떨어져 있으면서,
③ 수액주사나 약물에 반응할 때
④ Refractory septic shock
- 500mL가 넘는 수액을 주거나
- dopamine을 6ug/kg/hour이상 줘도
- 1시간 넘도록 혈압이 오르지 않는 경우
⑤ septic shock의 hemodynamic support
- fluid replacement : 1~2시간에 걸쳐 1~2L의 N/S 주입
- PCWP : 12~16mmHg유지
- CVP : 10~12cmH2O유지
- urine output : 30ml/h유지
Sepsis 진단의 실마리
① 열(체온> 40도)
② 의식 변화
③ 기립성 저혈압( >30mmHg)
④ 소변량 감소
⑤ 설명할 수 없는 부종(대개 혈중 알부민감소가 있다)
⑥ 호흡수 증가 (저산소증), 대사성 산증
⑦ lactate 혈중 농도 증가
⑧ 백혈구 감소증
⑨ 혈소판 감소증
⑩ 장기 기능부전
Sepsis의 치료
① 감염 병소 제거
② perfusion 유지
- Hb 10g/dL
- SaO2 95%이상
- 폐동맥쐐기압(pulmonary artery wedge pressure: PAWP)이 정상의 상한치가 될 만큼
(12-16mmHg) 수액 공급
- 혈청 알부민이 낮으면(<2g/dL) 혈관내 삼투압을 높이기 위해서 알부민을 투여
③ 혈관내의 수액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수축기 혈압> 90mmHg, cardiac index> 4(L/min)/m2 이상을 유지할 수 없으면 도파민
④ 도파민을 사용한지 20분이 지나도록 수축기 혈압 > 90mmHg, 소변량 30cc/hr 에 도달하지 않으면 도파민 양을 올린다
⑤ 수축기혈압을 유지하는데 도파민이 1분에 20ug/kg이상 필요하면 강심제, 혈관 수축제 사용
⑥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오르지 않는 환자는 부신기능 부전증을 감별
- Neisseria 감염증, 결핵, 에이즈 환자
- 오랜동안 부신피질호르몬을 사용하였던 환자
- 이 경우에는 hydrocortisone (50mg iv, 6시간마다)
⑦ 패혈증 매개물질의 차단
- steroid : 사망률을 줄이지 못함
- 헤파린 : 사망률을 낮추지 못함
- 내독소, TNF, IL blocker : 연구중
- activated protein C 투여 : 사망률 줄인다는 결과
'Intensive care un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domen pelvic CT (CBD Cancer) (0) | 2013.08.02 |
---|---|
Rhabdo myolysis (0) | 2013.07.19 |
Gram (-) 균과 항생제 선택 (0) | 2013.07.18 |
Gram (+) 균과 항생제 선택 (0) | 2013.07.18 |
항생제 종류 (0) | 2013.07.18 |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