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야 2013. 8. 18. 04:07

08.18 

a-line dorsal에 insertion해봤다 ! insertion은 처음이닷 !

기념으로 찍었다 ... 










a-line에 대한 레포트를 신규때 작성했었더라고.... 하핫...

그대로 그냥 복사 붙여넣기 신공만... ^^


참고로 헤파린 용량은 병원마다 다르니깐 저의 글을 보시고 하시면 큰일 나십니당. ^^;;


1. A-line 의의 및 목적

 1) 동맥 내 혈압 측정(Arterial Blood pressure monior)

 2) 동맥 내 혈압 측정은 정확한 혈관 내 압력을 측정한다.

 3) 계속적인 혈압의 감시로 상태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치료 대처 및 간호중재가 이루어진다.

 

 

2. A-line 적응증

   1) 쇼크나 출혈 등에 의해서 간접법으로는 동맥혈압을 측정하기가 어려운 경우

 (ex. Hypovolemic, Cardiogenic, Septic shock)

 2) 심혈관계가 매우 불안정하여 지속적으로 동맥혈압의 감시가 필요한 경우

 (ex. Hypotension, Hypertension, BP Fluctuation을 가진 critical patient etc)

 3) 혈액가스분석 및 기타 혈액검사를 시행하기 위해 동맥혈액을 자주 채취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3. A-line 삽입가능 동맥

 요골(radial), 상완(brachial), 액와(axillary), 족배(dorsalis pedis), 대퇴(femoral) 동맥 등

 (요골동맥과 족배동맥을 가장 많이 선택)

 (c.f 특히 요골동맥내로 카테터를 삽입할 경우에는 요골동맥이 폐쇄되더라도 수부(hand)의 괴사성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변형화된 Allen검사를 시행하여 척골동맥의 측부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감시)

 

 

4. 준비물픔

Transducer, Holder, IV stand pole, Pressure bag. Pressure  monitoring   kit, N/S(1,000cc) 1 Pack, Heparin 1,000u, 1% Lidocain 3cc, Arm  board, Plaster, Dressing set (필요하면 Glove)

 (Vinca needle - 성인: 22G, 20G, 18G,  소아: 24G, 22G )

 

 

5. SET 준비과정

   1) IV stand pole에 Holder를 고정

 2) N/S 1pack에 heparine 1,000u을 무균적으로 혼합(labeling 중요).

 3) 밀봉된 set를 풀고, N/S 1 Pack의 연결부위에 꽂는다.

 4) 위의 N/S 1 pack에 pressure  bag을 감은 후 압력을 가한다. (300mmHg 정도 유지)

 5) Tranducer의 표면을 주사용 증류수로 무균적으로 채워 dome과의 밀착도를 강화시키고 air를 없앤다.

 6) Holder의 상측부위로 set의 air opening site가 오게 하여 고정한 후 연결된 heparine 용액으로 set의 line을 채워 air를 모두 빼낸다.


6. Zeroing 과정

   1) HP (Drager) Pressure line의 adapter를 monitor에 연결한다.

 2) Hoder의 위치를 환자의 mid axilar 위치에 오게 고정한다.

 Tranducer에 가장 가까운 3-way를 돌려 tranducer가 대기쪽으로 열리게 한다. 이때 환자와 연결된 방향의 3-way는 잠궈야 한다.

 3) Monitor의 zero calibration button을 누르면 수초 수 화면에 zero digitaltnt자가 나타난다.

 4) 3-way 방향을 원래대로 돌리면 artery waveform이 나타나고 혈압의 수치가 화면에 나타난다.

 

 

7. 간호 관리와 유의사항

   1) 목적, 과정 등을 환자 상태에 따라 충분히 알아듣게 설명을 하여 심리적 안정을 주고 협조를 구한다.

 2) Vinca needle 의 고정을 견고하게 한다.

 3) Arm board 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며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4)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의 경우 충분히 설명하여 팔의 움직임을 적게 하도록 유도한다.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 움직임이 많은 환자는 restraints을 적용한다.

 5) 3-way의 연결부위를 꽉 조여 혈액의 역류현상과 우발적 손실을 미리 방지한다

        (20G vinca needle을 사용한 경우 4~5분 정도에 200cc에 blood loss가 가능하다).

 6) 순환부전이나 혈전증의 조기증상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관을 삽입한 부위가 항상 잘 보이도록 유지하며 수시로 피부색, 체온, 부종, 감각 등을 파악한다.

 7) Line을 계속 유지해야 할 경우는 감염예방을 위해 1주일이 경과하면 부위를 바꿔야 한다.

 8) 드레싱을 매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