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야 2014. 1. 9. 17:12

[Conclusion]
1> Widened DSF space along cerebral convexity(Rt>Lt)
--subdural hygroma.

 

뇌수종은 뇌를 싸고 있는 거미막의 일부가 손상이 오면서  뇌피질 바깥쪽부위 즉 경막 외 공간에
뇌척수액이 과도하게 고인경우를 말하는데 거의 대부분 외상과 연관되어 나타납니다.
수두증은 말그대로 거미막의 손상은 없지만 뇌척수액의 과도한 생성이나 순환장애 즉 막힘등에
의해서 뇌실이 커지면서 뇌실질을 압박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뇌수종은 hydrocephalus를 말하는 것입니다.
Hydrocephalus는 우리말로 수두증 혹은 뇌수종이라고 합니다.
 
알고 계시는 hygroma는 단순히 수종이라고 부릅니다.
수종은 주로 뇌경막하에 잘 발생하므로 주로 경막하 수종으로 불립니다.
즉 원어로는 subdural hygroma라고 합니다.
 
수두증과 경막하 수종은 발생 위치가 다릅니다.
수종은 주로 뇌의 바깥에 뇌척수액이 고이지만
수두증은 주로 뇌의 중심인 뇌실에 뇌척수액이 고이게됩니다.
 
또 많은 경우 경막하 수종은 뇌의 손상 후에 나타나는 합병증이 많으나
수두증은 뇌손상을 포함하여 뇌출혈이나 다른 뇌질환이 있는 경우
혹은 원발성(대부분은 선천성입니다.)으로 발생합니다.
 
많은 경우 수종은 일시적이지만 (물론 만성으로 되어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수두증은 진단되면 수술을 반드시 해야됩니다.

 

 

 


--ddx. chronic SDH.

2> Lacunar infarction, Lt periventricular and subcortical white matter adjacent to caudate nucleus and Rt basal ganglia.

뇌는 크게 백질(white matter)과 회백질(gray matter)로 나눌수 있다.
회백질은 뇌를 싸고 있는 바깥부분이고, 백질은 회백질의 안쪽에 있는 부분이다.

 

 

 

 

 

3> Periventricular hypoattenuation (Lt> Rt)

미세감쇠

 

[Recommandation]
clinical cor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