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nsive care unit

항균제 각론(glycopeptides 외)

매야 2013. 11. 30. 23:12

Glycopeptides

 

 1. vancomycin

 - 최근 MRSA가 늘면서 자주 쓰는 항균제

 - 기전 : 세포벽의 합성단계 중, peptidogycan 전구체의 peptidyl-D-alanyl-D-alanine말단에 작용하여 transpeptidation을 방해 (penicillin니 작용하기 바로 전 단계를 억제)

 - 항균력 : S. aureus, S. epidermidis, Diphtheroid, Streptococcus, Pneumococci, C. difficle에

           살균력 높다 (Enterococci에는 정균 항생제로 작용)

 - GI 흡수 아주 불량  →  IV로 천천히 주입 (IM시 pain 심함)

 - 반감기가 매우 길고 신장으로 배설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 사용례 :  ① MRSA ② S. epidermidis에 의한 prosthetics (joint, valve, shunt)감염

         ③ penocillin/cepha allergy 환자의 Streptococcus나 Enterococcus 감염 

         ④ Diphteroid 감염 ⑤ CAPD peritonitis ⑥ C. difficle에 의한 pseudomembraneus

          colitis

 - 부작용 (무섭다)

         ① 높은 농도로 오래 쓸 때 →  ototoxicity, nephrotoxicity

            (AG와 함께 쓰면 독성이 더 증가) 

         ② 주사를 빨리 놓을 때 → red man's syndrome, pain & spasm syndrome,

             저혈압 

         ③ 기타 : drug fever, allergic reaction, thrombophlebitis, neutropenia 

 2. Tedicoplanin

  - vancomycin과 화학구조, 작용기전, 항균범위 비슷

   (netropenia나 vancomycin에 allergy가 있는 환자에 유용)

  - vancomycin과의 차이

       ① 지용성이 높아 조직 침투력이 뛰어나며 반감기가 길다 (투여횟수가 적어짐)

       ② IM도 가능

 

 미국 CDC HICPAC 권장안의 vancomycin 내성균 확산을 막기 위한 기준
 ■ Glycopetides의 사용이 적절한 경우
  1. B-lactam 제제에 내성을 지닌 그람 양성균에 의한 중증 감염증 (예. MRSA)
  2. B-lactam 제제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의 그람양성균 감염증
  3. Metronidazole에 반응이 없거나 위중한 C. difficle 장염 (AAC) → oral vancomycin
  4. 심내막염의 예방 (American Heart Association 기준에서 인정하는 고위험군)
  5.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MASA, MRSE 의 빈도가 높은 병원에서 시행되는 
    인공삽입물 수술 , 심혈관계 수술, 인공관절 치환수술 등)
 ■ Glycopeptides의 사용이 부적절한 경우
  1. 일상적인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
  2. 호중구 감소 환자의 발열에 대한 초기 경험적 항생제
     (B-lactam 제제에 내성인 그람 양성균 감염증이 의심되는 경우에만 사용)
  3. 한 개의 혈액배양에서만 CNS가 자라는 경우
  4. Glycopeptides를 사용해야 하는 원인균이 자라지 않은 경우에 지속적인 경험적 투여
  5. 카테터 감염의 예방 목적 (전신적 또는 국소적 투여)
  6. 장관의 선택적 오염 제거
  7. MRSA 정착(colonization)의 제거
  8. 항생제 관련 설사의 일차 약제
  9. 저체중 신생아의 예방적 항생제
  10. CAPD 환자의 예방적 항생제
  11. 약물동력학적인 유리한 점 때문에 B-lactam 제제에 감수성인 균주에 대해 
     사용 (CRF 환자)

 

 Quinolon 계 항균제

 

 1. 약제

 - 작용기전 : DNA 합성 억제

 - 종류 : ciprofloxacin, ofloxacin, levofloxacin, pefloxacin, norfloxacin, lomefloxacin, 

          fleroxacin, tosufloxacin, clinafloxacin, enoxacin, amifloxacin, grepafloxacin,..

 

 2. 항균력

 - G(+)균에 포함되는 거의 모든 장내세균, P. aeruginosa, Haemophilus species,

   G(-) rods (Neisseria species 등) 등에 효과적

 - 개발 초기에는 Staphylococci에 항균력을 보였으나 현재는 내성이 많아짐

 - 최근에 개발된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anaerobes에 대하여는 잘 듣지 않는다.

 - ciprofloxacin,ofloxacin은 결핵균 및 비정형성 결핵균에도 항균력을 보인다

 - Mycoplasma, rickettsia, Chlamydia 등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다

 

 3. 약리학적 특성

 - 대부분 GI 흡수가 좋다 (75%~95%), 반감기 길어 하루 1~2회 투여 가능

 - 전신에 쉽게 퍼지고, 조직으로의 침투가 우수 (BBB투과는 좋지 않다.)

 - intracellular orgarnisms에 효과적    

 

 4. 임상적 사용

 - UTI : G(-) 장내세균에 매우 우수한 항균력, 소변중 높은 농도

 - GI infection : GI infection을 일으키는 대부분의 세균에 항균력, 대변중에도 높은 농도로 배설

 - typhoid fever에서 DOC

 - 성병 (임질, chancroid), osteomyelitis, arthritis, 결핵 ...

 

 5. 특성 및 부작용

 - 일반적으로 quinolone계 향균제는 부작용이 적다

 - 4~8% 에서 경한 부작용 : GI distress, CNS(dizzness, insomnia, nervousness), photohypersensitivity, rash

 - 연골손상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임산부나 17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금기

 

 6. New fluoroquinolones

 - 종류 : levofloxacin, sparfloxacin, trovafloxacin, moxifloxacin, clinafloxacin, gatifloxacin, gemifloxacin, trovafloxacin ...

 - G(+)균 (특히 penicillin 내성 S. pneumoniae에 대한 항균력이 강해졌고 혐기성 균에도 강한 항균력을 보임 (G(-)균에 대한 항균력은 약해짐)

 - bioavailability 좋아짐

 - 폐등 호흡기로의 침투율 우수 → 호흡기 감염 치료에 효과적

 - 반감기 길어짐 → 하루 한 번 투여로 충분

  

 Tetracyclines

 

 1. 약제

 - tetracycline(TC), doxycycline(DC), minocycline, demeclocycline

 - 작용기전 : 30S ribosome에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

 - 흡수는 주로 상부 소장에서, 반감기 6~8 시간, 신장과 담즙으로 배설

         신부전 환자에서 사용금기

         간기능 저하 환자에서 혈중농도가 높아지진 않으나 간독성 발생에 주의

 

 2. 임상적 사용         

 선택적 적응증 이차적 적응증
 Lyme병 여드름
 재귀열 방선균증(Actinomycosis)
 브루셀라증 탄저병(anthrax)
 연성하감 Campylobacter fetus, C. jejuni
 Chlamydia 감염증 만성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Helicobacter pylori Clostridium tetani
 (metronidazole, bismuth 등과 병용) Eikenella corrodens
 골반내 감염증 야토병(Tularemia)
 Pseudomonas mallei 렙토스피라증
 Rickettsia 감염증 Nocardia (minocycline)
 콜레라 Pasteurella multocida
 Vibrio parahemolyticus 서교열
 V. vulnificus 매독
 Mefloquine 내성 열대열 말라리아  페스트
 Ureaplasma urealyticum

  

- 내성률이 증가하였지만 Rickettsia, Mycoplasma, Chlamydia 감염에는 효과적

 

 3. 부작용

 - GI Sx (N/V, 상복부동통, 설사, 식도궤양)

 - 칼슘과 쉽게 결합하여 신생골과 소아의 치아에 침착

   → 태아의 치아변색, 법랑질 이형성, 뼈의 변형과 성장장애 일으킬 수 있다.

   → 임산부 및 8세 이하 소아에서는 금기

 - 간괴사 : 다량 투여할 경우 나타나며, 임산부에서 흔하다

 - 신독성 : 신부전 환자의 신기능을 저하시킴

       (democlocycline → nephrogenic DI를 일으키므로 SIADH치료에 사용)

 - 과민성 반응 : anaphylaxis, urticaria, rash

 

 4. Doxicycline

 - TC보다 경구로 흡수가 잘 되고, 음식물의 영향을 덜 받는다

 - 반감기 길고(16~18시간), 항균력도 우수 → TC의 적응증에 모두 쓰일 수 있다. 

 - Plasmodium falciparum에도 항균력이 있어 예방적 항생제로 사용됨

 

  Trimethprim-Sulfamethoxazole

 (TMP-SMX, Cotrimoxazole, Bactrim)

 - 작용기전 : nucleic acid 합성 단계중 SMX는 PABA→FH2 (dihydrofolic acid)단계를, 

       TMP는 FH2→FH4 (tetrahydrofolic acid) 단계를 억제 

 - 경구로 투여, GI에서 빨리 흡수

 - 소변으로 배설 (신기능 저하시 용량 조절해야)

 - 사용예

    비뇨생식기계 감염 

        (내성균이 증가함에 따라 quinolone을 쓰는 경우가 많아짐)

    위장관계 감염 (    ˝     )

    호흡기계 감염 : Pneumocystis carinii, Nocardia asteroides 등

 - 부작용 : 피부병변 (소양증, 발적), GI Sx (N/V, diarrhea), 신기능 저하, 백혈구 감소, 혈

         혈소판 감소 ...

         임산부에서 사용은 주의, 신부전 환자에서 투여시 더 악화 

 

  Chloramphenicol

 - 작용기전 : 50S ribosome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 억제

 - 항균범위 : 광범위, 대부분의 G(+) & G(-) bacteria, Salmonella, H. influenzae,

              S.pneumoniae, N. meningitidis / B. fragilis를 포함한 anaerobic bacteria ...

 - 사용예 : 혐기성균 감염 (특히 B. fragilis), typhoid fever, H. influenzae meningitis,

              pneumococcal & meningococcal meningitis 환자에서 penicillin allergy 시,

              brain abscess, rickettsia 감염 환자가 TC를 복용 못할 때 ...

 - 부작용 : BM 억제 (dose-related), gray baby syndrome (신생아, 신생아에서

              circulatory collapse로), optic neuritis, hypersensitivity (uncommon), 

              aplastic anemia (rare, idiosyncratic reaction) ... 

 

 Metronidazole

 - 작용기전 : bqcterial cell 내에서 reduction된 뒤, DNA에 작용하여 DNA의 구조를 파괴

 - 조직 투과력이 높다 (특히 CNS)

 - 항균범위 : 대부분의 혐기성 균과 일부 기생충감염

     ( 혐기성균에 대해 가장 강력한 항균 효과)

 - 사용예 : anaerobic infections, bacterial vaginosis, Trichomonas vaginitis,

      Amebiasis (imtestinal or extraintestinal), Giardiasis ...

 - 부작용 : glossitis, stomatitis, metallic taste, GI disturbances (anorexia, nausea,

      epigastric distress), CNS S/E (rare), peropheral neuropathy (rare),

      disulfiram-like reaction (rare),  pseudomembraneous enterocolitis (rare) ...

 

 Oxazolidinone

 - linezolid - 최초로 FDA승인을 받은 제제(2000년)

 - 기전 : 50S ribosome과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의 초기 단계를 억제

 - 항균력 (G 양성균) : S. aureus (methicillin내성과 관계없이), GISA, 모든 streptococci,

      다제내성 S.pneumoniae, Enterococci(vancomycin 내성과 관계없이)

      다른 항균제에 내성을 보이는 세균에 교차내성을 갖지 않는다.

 - 약동학 : 경구투여 가능, 조직 침투력 뛰어남, 신기능 저하시에도 용량은 줄일 필요없음

 - 적응증 

      ① VRE 감염 (E. faecium과 E. faecalis 모두!)

      ② 원외 및 원내 폐렴

      ③ 피부 연조직 감염

 - 부작용 : N/V, 설사, 두통, 발진, 가역적인 thrombocytopenia

 - pregnancy category C

 

 c.f.) 감염질환에서 steroid 사용의 예

      ① 소아의 Hemophilus 뇌막염

      ② 결핵 : 결핵성 심낭염, 뇌막염, miliary tuberculosis, 심한 pleural effusion,

             endobronchial tuberculosis

      ③ AIDS 환자의 P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