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슘통료 차단제
1. 약리작용
칼슘통로차단제는 칼슘채널에서 약간씩 다르게 작용하므로 약리 작용이 다양한 혈역학적 효과를 가진다. Nifedipine, Nicardipine, Nitrendipine은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하나 관상순환이나 뇌순환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심장 전도계를 변화시키지 않으며 오직 후부하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Diltiazem은 방실전도를 저하시키며 강력한 관상혈관 이완제로 작용하여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verapamil은 심박수를 감소시키고 방실전도를 저하시키며, 관상동맥과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Nimodipine은 뇌혈관 확장제로 쓰이며, 말초혈관이나 관상혈관, 전도조직에 영향력이 없다. Nimodipine을 제외한 칼슘통로차단제는 심근에 감소수축력 효과를 가진다.
2. 투여방법
낮은 용량으로 치료를 시작하여 환자의 반응을 보며 적정 용량을 정한다. 나이든 환자는 약물에 민감하므로 치료 초기에 주의 깊게 관찰하고 좌심실부전이 있는 사람은 심부전을 악화시키므로 주의한다.
심실상성 부정맥에 발생시 verapamil 5~10mg을 2~3분 동안 bolus로 주입하고 30분마다 반복하는데 1~10mg/hr로 지속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diltiazem은 심실상성빈맥시 정맥 주입하며 부하용량(loding dose)인 0.25~0.35mg/kg을 bolus로 주고 24시간 동안 10~15mg/hr 주입 한 뒤 경구용 제제로 바꾸어준다.(예 : 시간당 5mg 주입 → 일당 180mg 경구투여)
Nicardipine은 빠른 혈압 조절을 위해 정맥 주입하며 5mg/hr로 시작하여 5분마다 2.5mg/hr씩 올리며 15mg/hr까지 올릴 수 있다. 혈압이 조절되면 3mg/hr까지 낮춘다.
3, 임상이용
Nimodipine을 제외한 모든 칼슘 길항제는 고혈압 치료에 쓰이며 doxazosin, prazosin, terazosin과 같이 사용할 때 상승작용이 있다. 또한 안정성, 불안정성, 이형성 협심증의 치료에 쓰이며 Nitrates와 β-blocker와 같이 사용 할 때 상승 작용이 있다.
Nimodipine은 지주막하출혈 환자의 뇌혈관 수축 에방을 위해 쓰이며 verapamil과 diltiazem은 심실상성 부정맥 치료에 쓰인다. verapamil은 비대심장근육병(hypertrophic cardiomyopathy)에 효과적이고 Nicardiphne은 수술 후 고혈압 치료에 유용하다.
4. 부작용 및 약물 상호작용
β-blocker와 병용시 부작용 발생이 증가하고, 정맥 주입시 저혈압이 나타나며 digoxin 혈중농도를 상승시킨다. 혈관확장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어지럼증, 홍조, 두통, 졸도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교감신경작용 상승에 반응하여 협심증 증상이 악화된다. diltiazem 사용시 피부 발적, 서맥이 나타날 수 있고 cyclosporin level을 상승시킨다. amlodipine을 제외한 대부분의 약은 심부전을 악화시킨다. amlodipine은 후부하를 감소시키고 negative inotropic effect가 없다.